-
[2017 뮤콘 영상인터뷰 ③] 팟캐스트의 아버지, ' 켄 룻코우스키'
[2017 뮤콘 인터뷰 영상]지난 9월 26일부터 28일까지 상암동 DMC에서 MU:CON2017(이하 뮤콘)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습니다. 한국 대중음악을 해외로 소개하고, 국내외 음악산업 관계자들을 초청해 다양한 비즈니스를 이끌어냈던 현장을 더파워가 취재했습니다. [2017 뮤콘 인터뷰 영상]은 2017 뮤콘에 참가한 세계 각지의 음악산업 전문가와의 인터뷰 현장을 공개합니다.◇ 뮤콘 인터뷰 3 : 켄 룻코우스키 (보이스 오브 디스럽션 설립자, 대표 겸 호스트) 켄 룻코우스키(Ken Rutkowski)는 라디오 방송 ‘보이스 오브 디스럽션’의 설립자, 대표 겸 호스트입니다. 2003년 메탈(METal)을 설립해 전 세계적으로 2,200명 이상의 멤버를 확보하고 있습
-
[2017 뮤콘 영상인터뷰 ②] 인퓨즈 크리에이티브 설립자, '그레고리 마켈'
[2017 뮤콘 인터뷰]지난 9월 26일부터 28일까지 상암동 DMC에서 MU:CON2017(이하 뮤콘)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습니다. 한국 대중음악을 해외로 소개하고, 국내외 음악산업 관계자들을 초청해 다양한 비즈니스를 이끌어냈던 현장을 더파워가 취재했습니다. [2017 뮤콘 인터뷰]는 2017 뮤콘에 참가한 세계 각지의 음악산업 전문가의 인사이트를 담았습니다. ◇ 2017 뮤콘 인터뷰 2 : 그레고리 마켈 (인퓨즈 크리에이티브 설립자) 그레고리 마켈(Gregory Markel)은 디지털 마케팅과 보안 에이전시 ‘인퓨즈 크리에이티브(Infuse Creative)’의 설립자입니다. 저스틴 팀버레이크, 에미넴, 닥터드레와 같은 아티스트들 뿐만 아니라 250여 개의 영화,
-
[2017 뮤콘 영상인터뷰 ①] SXSW 총괄디렉터 '제임스 마이너'
[2017 뮤콘 인터뷰]지난 9월 26일부터 28일까지 상암동 DMC에서 MU:CON2017(이하 뮤콘)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습니다. 한국 대중음악을 해외로 소개하고, 국내외 음악산업 관계자들을 초청해 다양한 비즈니스를 이끌어냈던 현장을 더파워가 취재했습니다. [2017 뮤콘 인터뷰]는 2017 뮤콘에 참가한 세계 각지의 음악산업 전문가의 인사이트를 담았습니다.◇ 2017 뮤콘 인터뷰 ① : 제임스 마이너(South X SouthWest, SXSW 뮤직 페스티벌 총괄 디렉터) 제임스 마이너(James Minor)는 매년 미국 오스틴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페스티벌, SXSW(South X SouthWest) 총괄 디렉터입니다. 20년 이상 음악 업계에 종사하며 시장의 흐름을 이끌어온
-
[뮤콘 인터뷰④] 빌리 코 "'아시아 넘버원' K팝, 비-보아 이후 10년의 발전 고민해야 할 때"
"사실 지금 아시아 음악시장에서는 K팝이 가장 성공적이에요. 하지만 비와 보아 이후 다음 단계로 진화할 수 있느냐는 물음에는 의문이 들죠. 향후 10년의 발전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으로 보여요."차이니즈팝 음악업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인 빌리 코는 현재 K팝에 대해 이런 진단을 내놓았다. 빌리 코는 베이징에 에이뮤직 라이츠 매니지먼트(Amusic Rights Management)를 창설했고, 유명한 중국계 아티스트를 발굴하고 여러 히트송과 앨범 작업을 해왔다. 중국판 '나는 가수다', 미국의 '차이니즈 아이돌' 심사위원으로도 참여했다. K팝은 비와 보아 이후 방탄소년단과 자이언티, 지코 등 새로운 성장동력이 나타나고
-
[뮤콘 인터뷰③] 켄 룻코우스키 "커넥트 시대 음악산업, 멤버십 중심으로 아티스트-팬 연결 중요"
"우리는 커넥트를 통해 놀라운 가능성이 현실로 바뀌는 세상에 살고 있어요. 앞으로 음악산업은 멤버십을 중심으로 아티스트와 팬을 연결해주는 비즈니스 서비스가 중요해질 겁니다."이는 처음 팟캐스트 방송 개발자, 첨단기술과 엔터테인먼트 변화에 대한 라디오방송 '보이스 오브 디스럽션' 창립자 겸 호스트, 멤버십 가치 공유 메탈(METal) 창립자 등 부단히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있는 켄 룻코우스키(Ken Rutkowski)의 전망이다. 그는 팟캐스트 방송의 아버지, 테크놀로지와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산업 교차 분야의 선지자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더파워>는 26일 올해로 6회를 맞은 '2017 서울국제뮤직페어'(뮤콘, MU:CON)을 찾은
-
[뮤콘 인터뷰②] 그레고리 마켈 "톰 크루즈 중국 진출, 웨이보 통해 홍보...지역 특성까지 분석"
"배우 톰 크루즈의 중국 진출을 위해 현지 SNS인 웨이보를 홍보 채널로 활용했어요. 아티스트가 해외로 진출할 때는 각 지역의 특성을 조사해서 후속조치를 하죠."디지털 마케팅과 보안 에이전시인 '인퓨즈 크리에이티브'의 설립자이자 저스틴 팀버레이크, 에미넴, 닥터드레 등 유명 아티스트와 영화, 회사 등을 홍보하는 그레고리 마켈(Gregory Markel)의 말이다. 가수로도 활동했던 그레고리 마켈은 요새 대학에서 검색엔진 최적화, 소셜미디어 등 디지털 콘텐츠 전략에 대한 강연을 하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 말리부에는 개인 녹음 스튜디오도 운영하고 있는데, 내년에 10명의 한국 아티스트들을 초청해 무료로 오픈할 계획이다.<더파워
-
[뮤콘 인터뷰] 제임스 마이너 "K팝 방탄소년단 등장, 좋은 현상...아직 주류는 아냐"
"K팝에 방탄소년단의 등장은 새로운 변화라서 좋은 현상이라고 생각합니다. 미국에서도 인가가 많은데 아직 주류에 편입한 단계는 아니라고 봅니다."사우스바이사우스웨스트 뮤직페스티벌 총괄 디렉터를 맡고 있는 제임스 마이너(James Minor)는 올해로 6회를 맞은 '2017 서울국제뮤직페어'(뮤콘, MU:CON)를 찾아 26일 <더파워>와의 인터뷰를 통해 방탄소년단 신드롬에 대한 분석을 제시했다.서울 상암 MBC신사옥 2층 M라운지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제임스 마이너는 "지금 미국인들은 방탄소년단이라는 보이그룹이 있다고 인식하는 단계"라며 "관객에게 어떤 부분이 성공적이었는지를 봐야 하는데, 한 마디로 정의하기는 어렵지만 충분히
-
[인터뷰]"유엔에스캅(UN ESCAP), 빅데이터 활용법과 SDGs 달성 위해 통계 중요"
국제연합(United Nations, 이하 유엔)의 5개 상임이사국(미국, 중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 2개국(중국, 러시아)과 경제대국으로 꼽히는 3개국(중국, 일본, 한국)이 위치한 동북아시아. 이들 국가를 회원으로 하는 유엔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UNESCAP, 이하 유엔에스캅 혹은 에스캅)의 동북아사무소가 지난 2010년 인천 송도에 문을 열었다. 한국과 에스캅의 인연은 예상외로 길다. 1949년에 한국은 에스캅에 준회원국으로 가입했으며 1954년도엔 회원국이 됐다. 이후 한국은 1991년에 북한과 유엔에 동시 가입했다. 유엔에 가입되기 전 유엔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이사회 총회(41차, 1991년)를 서울에 개최하며 유엔 가입의 발판으로
-
[인터뷰] '예술을 입은 장신구', 아트주얼리 선두주자 김민휘‧정재인 작가
이태리, 유네스코 등 국제적인 대회 수상부터 한류 드라마 까지...오랜 역사와 고유의 노하우로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담아 글로벌 속 한류 문화를 채색해 가다! 외국인의 눈으로 바라본 서울은 어떤 모습일까? 서울은 고궁에서 느낄 수 있는 고요하고 고풍스러운 분위기와 도심 속 화려한 네온사인의 역동적인 느낌이 공존하는 유니크한 도시라고들 한다. 한국을 대표하는 디자이너답게 민휘아트주얼리 김민휘, 정재인 모녀 작가의 작품 세계는 서울의 모습과 꼭 닮아 있다. 고풍스러운 전통 장신구부터 화려한 케이팝 액세서리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의 작품들은 클래식한 명품의 고상함과 풍부한 상상력이 더해진 세련됨이 공존한다. 우수한 기
-
[영상뉴스] Ch.웹데일리 5월 셋째주 뉴스하이라이트
[Ch.더파워] 뉴스하이라이트는 더파워의 한주간 뉴스 중 가장 핫한 BEST3를 골라 영상으로 전합니다. #1. 작은 모바일 속 감동 웹드라마, 극장 상영으로 배가- 모바일 속 웹드라마가 영화관으로 옮아가고 있습니다. 1020세대가 주축인 웹드라마 팬덤층을 3040세대로 저변 확대를 꾀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 웹드라마 ‘오구실’ 시즌3는 상영회를 12일 CGV 압구정에서 열었습니다. 현장은 마치 ‘영화 시사회 같았다’고 전해집니다.- CGV도 웹드라마를 주제로한 전시회 ‘MOLBBANG 웹드전(展)’을 15일 개최했습니다. 전시회엔 웹드라마 ‘눈을 감다’ 등 5편이 상영될 예정입니다.#2. 위키트리뷴, 집단지성으로 가짜뉴스 아웃- 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