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메뉴
검색버튼

경제

“20대만 소득 제자리…최근 10년 실질소득 증가율 1.9%”

이경호 기자

기사입력 : 2025-09-29 10:00

공유하기

닫기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트위터

텍스트 크기 조정

닫기
@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연합뉴스
[더파워 이경호 기자] 체감물가를 반영한 실질소득을 분석한 결과, 최근 10년간 20대 청년층의 실질소득 증가율이 전 세대 중 가장 낮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9일 발표한 ‘2014~2024년 세대별 실질소득 추이 분석’ 보고서에서 청년층(20~29세)의 실질소득 증가율이 최근 10년간 연평균 1.9%로, 전 세대 가운데 최하위 수준이라고 밝혔다. 특히 실질소득 증가세는 2014~2019년 연평균 2.6%에서 2019~2024년 1.1%로 크게 둔화됐다.

한경협은 청년층 실질소득 부진의 원인을 명목소득과 체감물가 측면에서 분석했다. 최근 10년간 청년층 근로소득 연평균 증가율은 3.6%로 전 세대 중 가장 낮았고, 명목 경상소득 증가율 역시 4.0%로 최저치였다.

“20대만 소득 제자리…최근 10년 실질소득 증가율 1.9%”이미지 확대보기


고용률은 57.4%에서 61.0%로 높아지고 실업률은 9.0%에서 5.8%로 낮아지며 ‘양적 개선’은 있었지만, 비정규직 비율이 같은 기간 32.0%에서 43.1%로 11.1%포인트 늘어나 ‘질적 개선’은 부족했다.

체감물가 상승도 청년층 실질소득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꼽혔다. 최근 5년간 음식·숙박 물가가 연평균 4.0% 상승했으며, 이는 청년층 소비지출 항목에서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특히 음식·숙박 부문의 체감물가 상승 기여율은 30.9%로 가장 높았다.

명목 가처분소득 증가율이 2014~2019년 3.8%에서 2019~2024년 4.0%로 소폭 올랐음에도, 체감물가 상승률이 같은 기간 1.1%에서 2.8%로 뛰며 실질소득 증가 효과를 상쇄했다.

한경협은 청년층 실질소득 개선을 위해 노동시장의 질적 제고와 외식물가 안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노동시장 정책 지출 규모는 GDP 대비 1.02%로 OECD 평균(0.98%)을 상회했지만, 여전히 직접 일자리 창출 등 양적 개선에 치중돼 있어 고용훈련 확대와 기업의 양질의 일자리 창출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외식업체의 식재료비 부담 완화를 위해 할당관세와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등을 통해 외식물가 안정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경호 더파워 기자 lkh@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주요뉴스
경제
산업
IPO·주요공시·증권리포트
더파워LIVE
정치사회
문화
글로벌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