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유연수 기자]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지급된 이후 소비가 필수 생활 영역을 넘어 여가와 주유, 반려동물 등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엠브레인 딥데이터는 13일 발표한 분석에서, 9월 22일부터 28일까지의 소비쿠폰 결제 데이터를 살펴본 결과 편의점·음식점 등 생활밀착형 업종이 여전히 높은 비중을 차지했지만, 동시에 여가·주유·반려동물 관련 업종에서도 사용이 확대되는 흐름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분석에 따르면 지난 9월 22일부터 28일까지 1주간 소비쿠폰 사용처는 편의점(10.9%), 일반음식점(4.9%), 의료·건강 업종(4.0%), 카페(3.9%) 순으로 집계됐다. 이는 1차 소비쿠폰과 유사한 패턴으로, 생활밀착형 지출이 중심이 됐음을 보여준다.
특히 여가 업종(노래방·사진관·오락실 등)과 주점업의 구매 비중이 각각 0.4%에서 1.0%, 0.3%에서 0.6%로 소폭 상승했다. 연령대별로는 20대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아 노래방은 20대가 2.8%를 차지해 30대(1.3%), 40대(0.6%)를 크게 웃돌았고, 주점업 역시 20대가 1.1%로 다른 연령층보다 높았다. 이는 젊은 세대가 소비쿠폰을 여가와 모임 활동의 재원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1차 소비쿠폰 지급 당시 업종별 결제처 이용 비중이 지급 초기에는 분산됐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특정 업종 중심으로 집중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2차에서도 이와 같은 흐름이 재현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초기에는 편의점, 병원, 마트, 음식점 등 다양한 업종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다가 점차 생활권 중심의 일상적 소비처로 안정화되는 양상이다.
엠브레인 딥데이터 분석 결과, 소비쿠폰 지급 이후 소비 활동은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지역화폐 앱(서울페이, 경기지역화폐, 인천e음 등 9종)’ 이용자 수는 지난 7월 기준 전월 대비 23.2% 증가했다. 이는 소비쿠폰 지급이 지역화폐 사용 증가로 이어져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다만 일각에서는 소비쿠폰 지급 효과가 단기간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장기적으로 소비 진작 효과의 지속성과 민생경제 전반에 대한 파급력을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유연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