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최병수 기자] 국내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가 올해 3분기까지 15조원이 넘는 이익을 기록했지만, 자산 건전성은 급속히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화된 고금리와 경기 둔화로 자영업자·중소기업 등 취약차주의 연체가 늘면서 부실 대출이 급증한 영향이다. 금융권은 건전성 지표 악화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4대 금융지주는 9일 실적 자료를 통해 3분기 말 기준 요주의여신(연체 1~3개월) 규모가 18조349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우리금융지주 출범 이후 합산 통계가 시작된 2019년 이래 최대치다.
연체 3개월 이상 대출을 뜻하는 고정이하여신(NPL)도 9조2682억원으로, 전분기(9조3042억원)보다는 소폭 감소했으나 지난해 같은 기간(7조8651억원)보다 18% 늘었다. 전체 여신 대비 NPL 비율(0.72%)은 올해 1·2분기(0.74%) 수준을 유지했다.
반면 부실을 감당할 수 있는 여력을 보여주는 NPL커버리지비율(대손충당금 잔액 대비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123.1%로, 지난해 3분기 말(141.6%)보다 18.5%포인트 하락하며 역대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다.
금융지주들은 부실 확산을 막기 위해 사상 최대 규모의 충당금을 쌓고 부실채권 상·매각을 단행했지만 역부족이었다. 올해 1~3분기 4대 금융지주가 적립한 충당금은 5조6296억원으로 2019년 이후 최대 수준이다. 같은 기간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 4조6461억원 상당의 부실채권을 상·매각하며 자산건전성 개선에 나섰다.
금융권 관계자는 “취약차주 중심의 연체 증가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며 “고금리 장기화와 경기 회복 지연이 이어질 경우 부실 확대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최병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