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최병수 기자] 서울 주택 매매 시장에서 아파트 거래 비중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세사기 여파로 연립·다세대, 단독·다가구 등 비아파트 거래는 급감하며 아파트 쏠림 현상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14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 13일까지 서울에서 매매 신고된 주택은 총 6만3천730건으로, 이 중 아파트가 4만5천22건(70.6%)을 차지했다. 이는 2006년 실거래가 조사 시작 이후 가장 높은 비중이다.
반면, ‘빌라’로 불리는 연립·다세대 거래는 1만6천716건(26.2%)에 그쳤고, 단독·다가구 주택은 1천992건(3.1%)에 불과해 연간 기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거래 비중은 과거 2013년 65.6%로 정점을 찍은 후, 2020년에는 53.1%로 낮아졌고, 아파트값이 급등한 2021년엔 38.1%까지 떨어졌다. 금리 인상 여파가 컸던 2022년에는 26.0%까지 내려갔으나, 2023년 58.1%, 2024년 64.9%로 반등했고, 올해 들어 처음으로 70%를 넘어섰다.
반대로 연립·다세대는 임대차2법 시행 이후 전셋값이 급등했던 2021~2022년에는 각각 53.3%, 64.7%를 기록하며 아파트보다 거래량이 많았지만, 2022년 말부터 본격화된 전세사기 사태로 신뢰가 붕괴되면서 올해 30% 아래로 떨어졌다.
단독·다가구 주택 역시 2023년 4.4%에서 지난해 3.7%, 올해는 3.1%로 지속 하락하고 있다.
올해는 강남 3구와 용산구 전역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돼 거래에 제약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금리 인하 기대와 가격 상승세에 힘입어 아파트 매수세가 더욱 강해졌다는 분석이다.
비아파트 시장 침체는 공급 감소로도 이어지고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올해 1~5월 전국 비아파트 인허가 물량은 1만6천311가구로, 5년 전 같은 기간(2020년 5만1천817가구) 대비 31.5% 수준에 그쳤다. 서울 역시 같은 기간 2천232가구로, 2020년(1만1천757가구) 대비 19%에 불과하다.
전문가들은 과도한 아파트 쏠림이 시장 불안을 키우고 있다고 지적한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랩장은 “아파트 쏠림은 전셋값까지 자극해 임차인의 부담을 키운다”며 “상대적으로 임대료가 저렴한 비아파트 시장이 회복될 수 있도록 세제 혜택 등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임차인 보호 장치는 더욱 강화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병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