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LG생활건강 안면 특징점 추출 기술 적용 예시(좌), 얼굴 부위별 6가지 노화 지표 정의 예시(우)
[더파워 이설아 기자] LG생활건강은 비전 AI(Vision AI) 기술을 활용해 눈가, 입술, 얼굴 윤곽 등 부위별 노화 속도의 차이를 밝혀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성과는 피부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피부연구학회지(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온라인판에 게재된 ‘대규모 얼굴 이미지 분석 및 GWAS를 통한 얼굴 형태 노화의 유전적 구조 규명’ 논문을 통해 공식 발표됐다.
LG생활건강은 이를 자사의 피부 장수(Skin Longevity) 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추진했으며, 한국인 약 1만6000명의 얼굴 이미지를 분석해 진행한 국내 최대 규모의 얼굴 노화 연구 사례다.
연구진은 고해상도 얼굴 이미지를 기반으로 ‘안면 특징점 추출 기술’을 적용해 얼굴상 68개의 특징점을 분석하고, AI로 연령대별 미세한 구조 변화를 정량화했다. 이를 통해 눈가는 50세 이전부터 급격히 처지고, 입술은 50세 이후 변화가 두드러지며, 얼굴 윤곽은 전 연령대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한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연령대별로 관리해야 할 피부 부위가 다르다는 점을 보여주며, 30~40대는 눈가, 50대 이상은 입가와 주변 탄력 관리가 중요하다는 스킨케어 로드맵을 제시했다.
또한 LG생활건강은 전장 유전체 연관성 분석(GWAS)을 통해 얼굴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10개의 유전자 영역을 규명했다. 대표적으로 눈가 발달과 노화 패턴 조절에 관여하는 ‘FOXL2’, 피부 탄력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FGF10’ 유전자가 확인됐다. 이를 통해 개인의 타고난 유전적 특성과 연령별 노화 패턴을 반영한 맞춤형 뷰티 케어 전략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LG생활건강은 이번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개인별 피부 특성과 생애주기별 노화 특징을 고려한 정밀한 뷰티 케어 솔루션 개발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