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기 및 부품 공급 부족 등으로 스마트폰 부문 실적은 전분기 대비 1조원 가량 감소
이미지 확대보기29일 삼성전자는 올 2분기 매출 및 영업이익을 각각 63조6700억원, 12조5700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사진제공=연합뉴스][더파워=최병수 기자] 삼성전자가 비수기·부품 공급 부족 등에 따른 스마트폰 판매 부진에도 프리미엄 가전 판매 호조 및 반도체 호황 등에 힘입어 2분기에 매출·영업이익을 각각 63조6700억원, 12조5700억원을 기록하면서 ‘어닝서프라이즈(깜짝기록)’을 달성했다.
29일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 63조6716억원, 영업이익 12조5667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작년 2분기 대비 매출은 20.21%, 영업이익은 54.26% 각각 증가한 수치다. 2분기 순이익은 9조6345억원으로 지난해 동기에 비해 73.44% 늘었다.
특히 올 2분기 영업이익의 경우 전분기(9조3800억원) 보다 약 3조원 가량 뛰어넘었고 반도체 초호황기였던 2018년 3분기 기록한 17조5700억원 이후 11분기 만에 가장 높은 실적이다.
매출은 지난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60조원을 넘어서면서 누적 올 상반기 매출은 역대 최대 규모인 128조원을 넘어섰다.
각 사업별로 살펴보면 반도체 부문의 경우 매출 22조74000억원, 영업이익 6조9300억원을 기록해 전분기 및 전년 동기 대비 실적이 대폭 개선됐다. 반도체 부문이 거둔 영업이익은 올 2분 전체 영업이익 중 절반 이상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삼성전자 측은 “메모리는 출하량이 시장 전망치를 상회했고 가격 상승폭도 예상보다 컸고 원가경쟁력도 강화됐다”며 “시스템반도체도 미국 오스틴 공장 정상화로 이익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디스플레이 부분은 QLED TV 등의 판매 호조로 올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을 각각 6조8700억원, 1조2800억원 기록했다.
중소형 비수기 환경 속에서도 전반적인 판매가격이 상승하고 1회성 수익도 발생해 전분기 대비 실적이 개선됐다.
IM(IT & Mobile Communications : 모바일) 부문의 매출은 22조6700억원, 영업이익은 3조2400억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지난 1분기 모바일 부문은 갤럭시 S21 조기 출시 효과 등으로 영업이익 4조4000억원을 거뒀으나 2분기에는 비수기 영향과 부품 공급 부족, 코로나19에 따른 생산 차질 등으로 인해 약 1조원 가량 감소했다.
CE(Consumer Electronics : 가전) 부문은 2분기 매출 13조4000억원, 영업이익 1조600억원을 기록했다.
CE는 펜트업(Pent-up : 억눌렀던 수요가 급증하는 효과) 효과 지속 및 비스포크 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를 확대하며 호실적을 이어갔다.
이날 삼성전자는 이사회를 열고 지속가능경영 관련 이사회의 역할 및 책임강화를 위해 이사회 내 위원회인 ‘거버넌스위원회’를 ‘지속가능경영위원회’로 개편하기로 결의했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지속가능경영위원회는 기존 거버넌스위원회가 수행해 온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과 주주가치 제고 등의 역할에 더해 환경(E)·사회(S)·지배구조(G)와 관련된 지속가능경영 분야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이를 통해 회사의 지속가능경영 추진 방향을 제시하고 이행 성과를 점검하는 등의 역할을 강화할 예정이다. 위원회 운영의 독립성을 위해 지속가능경영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된다.
또한 그동안 주요 사업부에 지속가능경영사무국을 신설하고 지속가능경영추진센터를 CEO 직속 조직으로 격상하는 등 전담 조직체계를 지속 강화해온 삼성전자는 이번 위원회 개편으로 사업부에서 이사회에 이르는 전사 지속가능경영 추진체계를 확립하게 됐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