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유연수 기자] 출생아 수가 새해 첫 달부터 크게 감소했다. 지난 1월 출생아 수가 2만3천여명에 그치며 동월 기준 사상 최소치를 갈아치웠다.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1월 출생아 수는 2만3179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월 2만4665명에 비해 6.0% 감소한 것으로 역대 1월 기준 최저치다. 지난 2015년 12월부터 86개월 연속 출생아 수 감소가 이어지고 있다.
전년 동월비 감소율이 6%대로 치솟은 것은 6개월 만이다. 출생아 수는 지난해 7월 8.4% 감소한 이후 5개월간 0~4%대 감소율을 유지해왔다.
시도별로 보면 인천을 제외하고 나머지 시도에서 출생아 수가 1년 전보다 줄었다.
광주의 출생아 수는 735명에서 626명으로 14.9% 줄었다. 대구(-10.4%), 부산(-10.1%) 등도 출생아 수 감소폭이 컸다. 서울은 -5.3%, 경기는 -6.6%를 기록했다. 출생아 수가 늘어난 곳은 인천이 유일했다. 인천의 1월 출생아 수는 1400명에서 1428명으로 2.0% 증가했다.
반면 지난 1월 사망자 수는 1년 전보다 9.6%(2천856명) 증가한 3만2천703명으로 동월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지난 1월에도 코로나19 여파가 여전해 사망자 수가 증가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인구 자연증감 규모는 -9524명으로 나타났다. 1만명 가량의 인구가 자연적으로 줄어들었다는 의미다. 저출생·고령화의 영향으로 인구는 2019년 11월부터 39개월째 자연 감소하고 있다.
시도별로는 세종(146명)과 경기(78명)를 제외하고 나머지 15개 시도에서 자연 감소했다.
지난 1월 혼인 건수는 1만7천926건으로 1년 전보다 21.5%(3천173건) 늘었다.
혼인 건수는 코로나19가 본격화한 2020년과 2021년 각각 전년 대비 10.7%, 9.8% 감소했지만 지난해에는 0.4%만 줄어드는 데 그쳤고, 올해는 첫달부터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혼 건수는 7251건으로 1.4% 줄었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