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고, 1년 넘게 지속해온 이번 금리인상이 마무리 국면에 있음을 시사했다. 한·미간 기준금리 격차는 1.75%포인트로 사상 최대폭 벌어졌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3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직후 성명을 내고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또 올린다고 밝혔다.
연준이 지난해 3월 이후 10회 연속 금리를 올리면서 미국의 기준금리는 2007년 이후 16년 만에 최고 수준에 이르게 됐다.
이날 금리인상은 FOMC 위원들의 만장일치로 결정했다.
미 기준금리 상단이 5.25%까지 오르면서 한국과의 금리 차도 최고 1.75% 포인트로 역대 최대로 벌어져 자본 유출 등에 따른 한국 경제 피해도 우려된다.
이에 지난달 금리를 동결한 한국은행이 오는 25일 예정된 상반기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높고 고민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연준은 성명에서 "경제 활동은 1분기에 완만한 속도로 확대됐다"면서 "최근 몇 달간 일자리 증가는 견고했고, 실업률은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가계와 기업에 대한 엄격한 신용 상황은 경제활동, 고용, 인플레이션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있고, 그 영향의 정도는 여전히 불확실하다"며 "연준은 인플레이션 위험에 상당히 주의하고 있다"고 금리인상 이유를 밝혔다.
이날 금리인상 발표는 금리인상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에도 인플레이션 대응이 최우선 과제라는 연준의 인식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다만 연준은 "인플레이션을 (연준 목표인) 2%로 되돌리기 위한 추가 정책 강화가 적절할지 결정하는 데 있어, 연준은 통화정책의 누적 긴축, 통화정책이 경제 활동과 인플레이션, 그리고 경제적·재정적 상황의 전개에 영향을 미치는 시차를 고려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지난 3월 FOMC 성명의 '약간의 추가적인 정책 강화가 적절할 것으로 예상한다'는 문구 대신 들어간 것으로, 향후 금리 동결 여지를 열어둔 것으로 해석됐다.
워싱턴포스트(WP)는 “더는 금리 인상이 없음을 시사한 것”이라고 분석했고, 로이터통신은 “추가 인상을 중단할 수 있다는 신호”라고 전했다.
하지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동결에 관한 결정은 오늘 내려지지 않았다”며 시장 기대에 확답을 주지 않았다. 그는 오히려 “우리 (FOMC) 위원들은 인플레이션이 빠르게 내려가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를 갖고 있다”며 “(인플레이션 해소에) 시간이 걸릴 것이며 그러한 관측이 대체로 맞는다면 금리 인하는 부적절하다”라고 금리 인하에는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