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대출 1억2천만원, 月이자 84만원…"금융지원 강화해야"
가계 소비 위축으로 인해 자영업자들의 사업 실적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어 정부 차원의 긴급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음식점업, 숙박업, 도·소매업, 기타 서비스업 등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자영업자 2024년 실적 및 2025년 전망 설문조사’를 실시했다고 27일 밝혔다.
조사 결과, 자영업자의 72.6%가 2024년 매출이 2023년에 비해 감소했다고 응답했으며, 평균 감소율은 12.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72.0%의 자영업자가 2024년 순이익이 감소했다고 응답했으며, 평균 감소율은 13.3%로 집계됐다.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은 올해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5년 매출이 2024년 대비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은 61.2%, 순이익이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은 62.2%를 기록했다. 자영업자들이 예상하는 올해 평균 매출과 순이익 감소율은 각각 6.5%, 7.2%로 조사됐다.
자영업자들에게 가장 부담이 되는 경영 비용으로는 ▲원자재·재료비(22.2%) ▲인건비(21.2%) ▲임차료(18.7%) ▲대출 상환 원리금(14.2%)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영업자의 평균 대출금액은 1억2천만원, 월평균 이자 부담액은 84만3천원으로, 평균 8.4%의 금리 부담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협은 예금은행의 평균 대출금리가 4.7%, 소액대출 금리가 6.9% 수준인 점을 감안했을 때, 상당수의 자영업자들이 제2금융권 등 비은행 금융기관에서도 대출을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자영업자들의 지속적인 폐업 고려 현상이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3.6%가 향후 3년 이내에 폐업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업을 고려하는 주요 이유로는 ▲영업 실적 지속 악화(28.2%) ▲경기 회복 전망 불투명(18.1%) ▲자금 사정 악화 및 대출 상환 부담(18.1%) ▲임차료·인건비 상승(11.9%) ▲원자재 가격 상승(11.9%) 등이 꼽혔다.
한편, 경기 회복 시기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절반(50.2%)이 올해 하반기 또는 내년 상반기로 예상했다.
올해 예상되는 경영 애로 사항으로는 ▲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34.9%) ▲원부자재 매입비 부담(24.0%) ▲임차료·세금·수수료 부담(12.3%) ▲대출 상환 및 금리 부담(11.6%) ▲최저임금 등 인건비 부담(9.1%)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자영업자들은 정부가 ▲대출 상환 유예 등 금융 지원 확대(22.1%) ▲소비 촉진 방안 확대(20.9%) ▲원부자재 가격 등 물가 안정화(14.0%) ▲임대료 지원 강화(11.7%) ▲공공요금 인상 억제 또는 인하(10.5%) 등의 지원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우리 경제의 저성장 기조가 지속되면서 가계 소비가 위축되고 내수가 둔화되면서 자영업자들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이 장기화될 경우 서민 경제 전체가 타격을 입을 수 있는 만큼 금융 지원 확대, 원자재 가격 안정, 소비 촉진 정책 등을 통해 자영업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