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이경호 기자] 미국 뉴욕증시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고율 관세 부과 선언에도 불구하고 이틀 연속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를 다시 경신했다. 시가총액 상위 우량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된 가운데, 투자자들은 관세 불확실성보다는 실적과 기술주 기대감에 집중하는 분위기다.
1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1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92.34포인트(0.43%) 오른 44,650.64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17.20포인트(0.27%) 오른 6,280.46을, 나스닥종합지수는 19.33포인트(0.09%) 오른 20,630.67을 기록하며 각각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우량주 강세가 뚜렷했다. 다우지수 구성 종목 30개 중 20개가 상승했으며, 특히 엔비디아는 주당 164.10달러에 마감하며 시가총액 4조 달러를 처음으로 종가 기준 넘었다. 테슬라는 AI 서비스 '그록' 탑재와 로보택시 사업 확대 기대감에 4.73% 급등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브라질산 수입품에 5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선언했음에도 시장은 크게 반응하지 않았다. 트럼프는 브라질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에서 이번 조치가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에 대한 사법 판단을 '마녀사냥'으로 규정하며 정치적 성격이 짙음을 내비쳤다.
구리에 대해서도 오는 8월부터 5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지만, 시장은 이를 인플레이션 위험으로 인식하기보다는 AI와 반도체 산업에 대한 낙관론에 주목했다.
업종별로는 기술과 통신서비스를 제외한 전 업종이 상승했다. 특히 임의소비재는 1% 오르며 강세를 이끌었다. 델타항공은 분기 실적과 연간 가이던스가 시장 기대를 웃돌면서 12% 가까이 급등했고, 아메리칸에어라인스도 12.72% 상승했다. WK켈로그는 이탈리아 페레로에 인수된다는 소식에 30% 급등했고, MP머티리얼즈는 미 국방부가 4억 달러 규모 우선주 투자를 결정하면서 50% 폭등했다.
연준 인사도 시장 낙관론에 힘을 실었다.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제는 금리 인하를 고려할 시점"이라며 "연내 두 차례 인하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같은 날 발표된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2만7천 건으로 예상치(23만5천 건)를 밑돌며 고용시장의 견조함도 재확인됐다.
금리 선물 시장에서는 9월 기준금리 25bp 인하 가능성을 63.9%로 반영하고 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1% 하락한 15.78로 마감하며 시장의 낙관적인 심리를 반영했다.
이경호 더파워 기자 lkh@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