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유연수 기자]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46억원 규모의 역대급 횡령 사건이 발생한 가운데 공단이 최근 4년 동안 200명에 육박하는 임직원 친인척을 채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2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최연숙 국민의힘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복지부 산하 공공기관이 2019년부터 2022년 6월까지 채용한 임직원 친인척은 330명으로 집계됐다.
그 중 59.7%을 차지하는 197명은 건보공단에 채용됐다. 임직원 친인척 43명(13.0%)을 채용한 국민연금공단이나 35명(10.6%)을 고용한 대한적십자사 등과 비교해도 규모가 많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16명(4.8%), 국립암센터 14명(4.2%), 국립중앙의료원 11명(3.3%),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6명(1.8%), 한국보건산업진흥원 3명(0.9%) 등 순으로 뒤를 이었다.
임직원과 친인척의 관계를 살펴보면, 형제·자매·손이 86명(26.1%)으로 가장 많은 데 비해 건보공단에서는 임직원 부모 채용이 50명(25.4%)으로 두드러졌다. 11개 공공기관은 4년 동안 사촌(65명), 부모(62명), 배우자(55명), 삼촌·고모·이모(34명), 자녀(22명) 순으로 친인척 채용이 많았다. 건보공단의 경우, 임직원의 형제·자매·손 47명, 사촌 46명, 삼촌·고모·이모 23명, 배우자 26명, 자녀 4명을 뽑았다.
채연숙 의원은 "친인척 채용이 유난히 많은 건보공단에 대해 복지부가 문제가 없는지 철저하게 확인해야 할 것"이라며 "공공기관 임직원 친인척 채용이 많다는 것은 국민 눈높이에서 의구심이 들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