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첫 세미나 열고 탄소중립 정책 및 녹색금융 활성화 전략 등 논의
이미지 확대보기27일 한화그룹은 전날 ESG 위원회가 첫 세미나를 열고 탄소중립정책 및 녹색금융활성화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사진제공=한화그룹][더파워=조성복 기자] 한화그룹이 계열사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지원·자문 및 그룹 차원의 ESG 활동 등을 위한 ‘한화그룹 ESG 위원회’를 신설해 첫 회의를 가졌다.
27일 한화그룹은 전날 한화그룹 15개 계열사 ESG 담당 임원·팀장 등 60여명이 참여한 ESG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한화그룹에 따르면 화상회의 시스템을 활용해 열린 이번 세미나는 외부 환경 전문가를 초청해 탄소중립에 대한 국내외 정책의 이해도 제고와 ESG 추진 방향 설정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마련됐다.
이날 90분간 진행된 세미나에서는 ‘2050 탄소중립 정책과 ESG 국내외 동향과 전망’이라는 주제로 국제 사회의 탄소중립 정책, 2050 탄소중립을 위한 한국 정부의 추진 전략 및 세부 제도, ESG 관련 정부 정책, 녹색금융 활성화 전략 등에 대해 논의했다.
한화그룹 ESG 위원회는 ESG 경영에 대한 이해와 내부 수용성 제고를 위해 정기적으로 관련 세미나를 진행해나갈 방침이다.
이 과정에서 환경, 사회적 책임, 지배구조 등 ESG 전반에 걸친 주제를 선정해 관련 전문가들을 강사로 초빙하기로 했다.
한화그룹 ESG 위원회는 ESG 연관성·운영 효율성을 고려해 기존 준법경영 협의체인 ‘컴플라이언스위원회’ 산하로 두게 된다. 위원장에는 한화컴플라이언스위원회 소속의 조현일 사장이 선임됐다.
위원회는 환경, 사회적 책임(공정·복지), 지배구조, 대외 커뮤니케이션 등 4개 부문으로 구성되며 분기 1회 정기회의와 임시회의 등을 통해 계열사 지원 및 자문을 위한 실무 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올해 신년사를 통해 “ESG가 글로벌 기업의 핵심 경영 원칙으로 자리잡았다”면서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리더로서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하며 탄소제로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환경 경영에도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이후 지주사인 한화를 비롯해 한화솔루션·한화생명·한화자산운용 등 4개사는 이사회 내에 ESG 위원회(한화생명은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신설했다.
특히 이들 회사의 ESG 위원회는 회사 조직이 아닌 법령상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이사회 내에 설치됐고 독립성·전문성 확보를 위해 과반수를 사외이사로 구성했다. 한화투자증권도 현재 ESG 전담 관리부서 신설을 검토 중에 있다.
또한 상장회사 한화·한화생명·한화솔루션·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시스템·한화손해보험·한화투자증권 등 그룹 내 7개 상장사는 지배구조·환경경영·사회공헌·주주환원 등 지속가능경영 성과와 전략을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연내 발간할 예정이다.
한화 그룹 계열사들은 ESG 경영 활동을 위한 행보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 1월 한화생명·한화손해보험·한화투자증권 등 한화그룹 6개 금융회사는 탄소제로시대를 향한 ‘한화금융계열사 탈석탄 금융’을 선언했다.
이 회사들은 향후 국내·외 석탄발전소 건설을 위한 프로젝트파이낸싱에 참여하지 않는 대신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관련 자산에 대한 투자는 지속 확대하기로 했다.
지배구조 분야에서는 그룹 내부 출신 사외이사 배제, 사외이사 중심의 감사위원회 구성, 사외이사 구성의 다양성 제고 등을 통해 이사회 운영의 독립성·자율성을 제고하고 있다.
올해 들어 여성 사외이사 선임 등 성별·나이에 관계없이 전문성을 갖춘 사외이사들을 선임하면서 이사회 운영의 독립성·자율성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한화·한화솔루션 등 계열사들은 친환경 에너지 사업 투자를 위한 ESG 채권(녹색채권) 발행에도 집중하고 있다.
올해 발행규모만 총 7000억원 수준으로 모두 수요예측 예정금액을 초과하며 흥행 돌풍을 이어가고 있다. 녹색채권은 신재생 에너지 등 친환경 사업 관련 자금 조달을 위한 특수목적채권으로 공인기관 인증을 거쳐야 하는 ESG채권 중 하나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