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메뉴
검색버튼

경제

4대 금융지주 이자이익 사상 첫 40조원 돌파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4-02-10 14:09

공유하기

닫기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트위터

텍스트 크기 조정

닫기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최병수 기자] 지난해 고금리 상황에서 4대 금융지주의 연간 이자 이익이 사상 처음 40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4대 금융지주(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연간 연결 당기순이익은 총 14조9682억원으로 전년 대비 4.5% 감소했다.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할 것이라는 애초 전망과 달리 은행권 민생금융지원 방안 동참, 대손충당금 전입액 확대 등으로 순이익이 다소 감소했다. 다만, 금융지주들의 내실은 개선됐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핵심 수익원인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이 모두 증가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4대 금융지주의 총 이자이익은 40조6553억원으로 전년보다 1.9% 늘었다. 이들의 이자이익이 40조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가계대출과 기업대출이 증가하는 가운데 고금리 장기화의 직접적인 수혜가 나타난 셈이다.

비이자이익도 총 10조5187억원으로 전년보다 48% 급증했다. 수수료 구조를 변경하고 주식 투자 등에서 과거 손실을 만회한 덕분에 높은 수익을 낸 것으로 해석된다.

지난해 4분기에 일부 반영된 민생금융지원이 비이자이익 감소 요인으로 작용했는데도 총액이 50%가량 증가한 점이 눈에 띄었다.

금융지주들이 막대한 실적을 거두는 동안 은행권에서 돈을 빌린 이들의 연체율은 더 나빠졌다.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대출 연체율은 지난 2022년 말 평균 0.20%에서 지난해 말 평균 0.25%로 0.05%포인트(p) 상승했다.

대부분 은행에서 건설업은 가장 연체율이 높은 업종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년 동안 신한은행은 0.34%에서 0.79%로, 하나은행은 0.17%에서 0.33%로, 우리은행은 0.26%에서 0.39%로 건설업 연체율이 각각 상승했다.

이에 금융지주들은 올해 대출 부실화 등에 대비, 건전성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지난해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규모를 크게 늘렸다.

4대 금융지주의 지난해 연간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총 8조9931억원으로 전년보다 73.7% 증가했다.

KB금융이 3조1464억원으로 70.3%, 신한금융이 2조2512억원으로 70.8%, 하나금융이 1조7148억원으로 41.1%, 우리금융이 1조8807억원으로 112.4% 각각 추가 적립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주요뉴스
경제
산업
IPO·주요공시·증권리포트
더파워LIVE
정치사회
문화
글로벌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