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돈을 벌지 않고 육아를 전담하는 남성이 지난해 1만6000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2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주된 활동이 육아였다는 남성은 1만6000명으로 전년(1만2000명)보다 4000명(37.4%) 증가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99년 6월 이후 연간 기준 역대 가장 많은 수치다.
저출생으로 육아하는 인구가 줄어드는 가운데 육아 남성은 늘어났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육아가 주된 활동인 사람은 2013년 148만3000명에서 2017년 126만6000명으로 감소했고 2022년 이후로는 100만명을 밑돈다.
육아를 한 남성의 증가는 배우자 육아 휴직 제도가 확대되고 남성 육아에 대한 인식이 확산한 결과로 풀이된다.
연령대별로 보면 40대가 8400명(53.3%)으로 절반 넘게 차지했다. 30대가 4600명(28.8%)으로 그 뒤를 이었다. 다만 육아 남성 수가 적어 통계적 변동성에 유의해야 한다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육아한 여성은 지난해 84만명으로 14만5000명(14.7%) 줄었다. 육아를 한 여성은 2013년 147만6000명에서 2017년 126만2000명, 2022년 98만4000명 등으로 줄어드는 추세다.
다만 지난해 기준으로 육아를 한 남성(1만6000명)의 50배에 달하는 등 여전히 여성이 육아를 도맡고 있다.
동시에 여성의 경제활동은 늘어 지난해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55.6%로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만 한국경제인연합회 등에 따르면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15∼64세 기준)이 2021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 회원국 중 31위에 머무르는 등 다른 나라에 비해 부진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