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과일값 불안 여전…배 102.9%↑, 상승폭 역대 최대
(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2.9% 올랐다. 2월과 3월 3%를 웃돌던 물가 상승률이 석달 만에 2%대로 내려왔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99(2020년=100)로 작년 같은 달보다 2.9%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 2.8%에서 2월에는 3.1%로 올랐고, 3월에도 3.1%에 머물다가 4월에 3% 밑으로 내려섰다.
상품별로는 농축수산물이 1년 전보다 10.6% 상승했다. 축산물(0.3%), 수산물(0.4%)은 안정적 흐름을 보였지만 농산물이 20.3% 뛴 탓이다.
특히 과일과 채소가 여전히 높은 물가상승률을 기록했다. 신선식품지수는 전월보다는 3.7% 하락했지만, 작년 동월 대비로는 19.1% 올라 여전히 높은 수준을 이어갔다.
신선채소는 12.9% 올랐다. 사과(80.8%)와 배(102.9%)를 중심으로 신선과실은 38.7% 상승해 3월(40.9%)에 이어 40% 안팎의 오름세를 지속했다. 낮은 할당관세가 적용된 망고(-24.6%), 정부 비축물량이 방출된 고등어(-7.9%) 등은 하락했다.
중동 위기 고조로 가격 불안이 컸던 석유류는 지난해 같은 달에 견줘 1.3% 올랐다. 지난 3월 상승률(1.2%)이 14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되고 두달 연속 상승 흐름이 이어졌다.
통계청 공미숙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워낙 중동 정세가 불안정했는데 석유류 가격이 생각보다는 많이 오르지 않았다"며 "외생변수인 석유류 가격을 주의해서 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2% 올랐다. 전월과 비교하면 0.1%포인트(p) 낮아졌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3.5% 상승했다. 이는 전월 대비 0.3%p 낮은 상승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