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메뉴
검색버튼

산업

장마철 필수 제습기, 제품별 성능 천차만별... 꼼꼼히 확인하고 구매해야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4-07-17 16:08

공유하기

닫기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트위터

텍스트 크기 조정

닫기
장마철 필수 제습기, 제품별 성능 천차만별... 꼼꼼히 확인하고 구매해야이미지 확대보기
(더파워뉴스=유연수 기자) 장마철 많이 찾는 일부 제습기의 제습량이 광고나 제품에 표시된 수치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제습기는 실내공간의 습기를 빠르게 제거해주는 가전제품으로 특히 여름 장마철에 수요가 집중된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소비자의 제품 선택을 돕기 위해 시중에 유통 중인 제습기 9개 제품의 품질(제습성능, 소음)·경제성(에너지소비량, 제습효율) ·안전성(전도안정성, 제습수 처리, 감전보호) 등을 시험평가했다.

시험평가 결과 제습성능·제습효율·소음 등 주요 성능과 부가기능, 가격 등에서 제품 간 차이가 있었고 일부 제품은 표시·광고한 제습량과 실제 측정값에 차이가 있어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했다. 안전성 및 표시사항은 전 제품이 관련 기준에 적합했다.

장마철 필수 제습기, 제품별 성능 천차만별... 꼼꼼히 확인하고 구매해야이미지 확대보기
24시간 동안 제습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을 의미하는 제습성능은 최소 12.2ℓ ~ 최대 21.1ℓ 범위 수준으로 제품 간에 최대 1.7배 차이가 있었다.

캐리어, LG전자 등 2개 제품이 20ℓ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우수했고, 씽크에어 제품은 12.2ℓ로 가장 낮았다.

보아르, 씽크에어 등 2개 제품은 실측치가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 라벨에 표기된 1일 제습량 수준이었으나 더 높은 용량을 제습할 수 있다고 제품에 표시·광고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했다.

위니아 제품은 에너지소비효율 인증 제습량과 동일하게 표시·광고하고 있었고, 실측치는 92% 수준으로 기준에는 적합했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위닉스 제품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자동모드로 작동 시 제습량 실측치(12.0ℓ)가 제품에 표시된 제습량(19.0ℓ) 보다 적어 표시치 수준의 제습성능을 구현하려면 수동모드로 작동이 필요했다.

제습성능을 적용면적으로 환산하면 약 16 ~ 28평형 수준으로 제품별로 차이가 있어 제품 구매·선택 시 주로 사용하는 공간 면적을 고려하여 적합한 제품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최대 풍량 조건에서 소음은 제품별로 49 ~ 57㏈ 범위 수준으로 최대 8㏈ 차이가 있었고, 위니아, LG전자 등 2개 제품의 소음이 50㏈ 이하로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최소 풍량 조건에서는 위니아, LG전자, 삼성전자, 위닉스 등 4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제습효율이 높을수록 에너지효율이 우수한 제품으로는 삼성전자, LG전자, 위닉스, 캐리어, 쿠쿠홈시스 등 5개 제품의 제습효율이 2.6ℓ/kwh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ʻ우수ʼ했다.

신일전자, 위니아 등 2개 제품은 ʻ양호ʼ했고, 보아르, 씽크에어 등 2개 제품은 1.94ℓ/kwh 이하로 ʻ보통ʼ수준으로 평가되어 제품 간 제습효율에 차이가 있었다.

소비전력을 월간전기요금으로 환산하면 평균 8,000원 수준으로 삼성전자 제품이 7,000원(262 W)으로 가장 적었고, 보아르 제품이 10,000원(363 W)으로 유지비용이 가장 높았다.

이 밖에도, 전도안정성·제습수 처리·감전보호(누설전류·절연내력) 등 안전성은 전 제품이 이상 없었다.

또한, 제품의 표시사항(인증번호·제조자명 등) 표기는 모든 제품이 관련 기준에 적합했다.

물통 용량이 크면 물통을 비우는 횟수가 줄어들어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한데 신일전자 제품이 5.7ℓ로 물통이 가장 컸고, 위닉스 제품은 3.8ℓ로 가장 작았다.

소비자원은 "제습기는 가정 내에서 주로 사용하는 공간 면적 등을 고려해 제습성능·제습효율·소음·가격 등을 꼼꼼히 비교한 후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주요뉴스
경제
산업
IPO·주요공시·증권리포트
더파워LIVE
정치사회
문화
글로벌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