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시대 우리 전략은 데이터센터·에너지 결합…가장 적은 비용으로 금 캐도록"
(더파워뉴스=유연수 기자)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이 앞으로 2~3년 안에 엔비디아가 부서지지 않을 것이라며 엔비디아의 기세가 앞으로 5년간은 지속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최 회장은 19일 제주 신라호텔에서 열린 대한상의 제주포럼의 'AI 시대, 우리 기업의 도전과 미래 비전' 토크쇼에서 엔비디아에 대해 "중요한 고객이다 보니 저희도 연구를 많이 하는데, 3년 안에는 솔직히 적수가 거의 없다"며 이같이 내다봤다.
그는 "여기에 많은 요인이 있는데 GPU로 그래픽을 다루는 것이 AI 연산과 거의 똑같은 얘기가 되고, 엔비디아가 이를 더 쉽게 만드는 소프트웨어를 상당히 많이 발전시켰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누군가 칩을 비슷하게 만들어도 그 하드웨어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를 한순간에 만들 방법이 없다"며 "2∼3년간은 하드웨어도 소프트웨어도 좋기 때문에 무너지기 힘들다"고 덧붙였다.
다만 최 회장은 엔비디아가 2∼3년 후에 무너질 가능성은 몇 가지 있다면서 "현재 AI 시장은 앞으로 자연스럽게 돈을 벌겠지라는 가정이 깔려있다"며 "2~3년 안에 초거대언어모델(LLM)을 만들었는데 돈을 벌 만큼 발전하지 못 한다면 다른 종류의 반도체칩이 필요해져 엔비디아 장점이 사라진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SK와 같은 반도체, 에너지 기업이 돈을 벌기 위해서는 네이버의 성공 등 ‘AI 골드러시’가 지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AI라는 금을 깨기 위해 골드러시 도전을 하는데 그 과정에서 청바지, 곡괭이를 파는 기업이 돈을 벌었고 그게 엔비디아와 SK하이닉스 등의 기업”이라며 “금이 안 나오면 곡괭이를 팔지 못하고 골드러시는 사라질 수 있다. 결국, 네이버 같은 기업이 AI에 성공하고 돈을 벌어야 우리 같은 장비를 만드는 기업이 성공하는 데 그게 SK의 전략”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