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메뉴
검색버튼

경제

'쉬었음' 청년 5년간 53조원 경제손실…역대 최대치 경신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5-08-18 09:07

공유하기

닫기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트위터

텍스트 크기 조정

닫기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최병수 기자] 일과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이른바 ‘쉬었음’ 청년이 급증하면서 최근 5년간 발생한 경제적 손실이 53조원을 넘어섰다는 분석이 나왔다. 청년 인구가 줄고 있음에도 ‘쉬었음’ 청년 규모는 오히려 늘어나 지난달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18일 이미숙 창원대학교 교수에게 의뢰한 ‘쉬었음 청년 증가에 따른 경제적 비용 추정’ 연구용역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만 15~29세 청년 인구는 2019년 966만4000명에서 2023년 879만4000명으로 감소했지만, 같은 기간 ‘쉬었음’ 청년은 43만2000명에서 48만1000명으로 늘었다. 코로나19 시기인 2020년에는 53만8000명까지 치솟으며 급증세를 보였다.

특히 대학교 이상 고학력 청년의 ‘쉬었음’ 인구는 2019년 15만9000명에서 2023년 18만4000명으로 증가했다. 전체 ‘쉬었음’ 청년 중 고학력자의 비중도 36.8%에서 38.3%로 확대됐다. 보고서는 “경기 상황이나 고용 여건에 따라 고학력 청년이 일자리 진입을 늦추는 특성이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이들의 경제적 비용은 취업 청년의 임금 수준과 비교해 추산됐다. 2019년 ‘쉬었음’ 청년의 월 임금 추정치는 약 155만원으로 취업 청년 임금의 80% 수준이었고, 2023년에는 179만6000원으로 취업 청년의 82.7% 수준에 그쳤다.

연도별 ‘쉬었음’ 청년 인구, 이들의 예상 소득, 고용주의 사회보장부담금을 합산해 산정한 결과 최근 5년간 누적 경제적 손실은 53조3998억원으로 나타났다. 연간 비용은 2019년 8조8969억원에서 2023년 11조5163억원으로 증가세를 이어갔다.

보고서는 청년 경제활동 촉진을 위한 대책으로 ▲교육 수준별 맞춤형 정책 ▲조기 발견·정보 공유 시스템 ▲심리·회복 지원 프로그램 등을 제시했다. 무기력 극복 프로그램, 청년 회복형 근로장학제도, 청년 동행 매니저 제도 등이 대표적이다.

이상호 한국경제인협회 경제산업본부장은 “경기 부진 장기화로 기업 신규 채용이 줄어 청년 취업난이 심화되고 있다”며 “‘쉬었음’ 청년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 정책과 함께 내수진작, 규제 완화 등 기업 활력 제고를 통한 신규 고용 여력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병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주요뉴스
경제
산업
IPO·주요공시·증권리포트
더파워LIVE
정치사회
문화
글로벌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