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이경호 기자] 국내 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이 지난 2021년 3월 말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한 가운데 중소기업 대출의 부실채권 비율도 5년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금융감독원은 5일 발표한 ‘2025년 6월 말 국내은행 부실채권 현황’에서 은행권 부실채권 비율이 0.59%로 전 분기와 동일한 수준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지난 2021년 3월 말(0.62%)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부실채권 규모는 16조6000억원으로, 5년 6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던 1분기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세부적으로는 기업여신이 13조1000억원, 가계여신 3조2000억원, 신용카드채권 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2분기 신규 발생 부실채권은 6조4000억원으로 전 분기(6조원) 대비 4000억원 증가했다. 기업여신 신규부실은 4조9000억원으로 4000억원 늘었으며, 이 가운데 중소기업 신규 부실은 4조400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5000억원 증가했다. 가계여신 신규부실은 1조4000억원으로 전 분기와 동일했다.
부문별 부실채권 비율을 보면 기업여신은 0.72%로 전 분기와 유사했다. 대기업여신은 0.41%로 0.04%포인트 하락했지만, 중소기업여신은 0.90%로 0.01%포인트 상승했다.
중소기업여신이 0.90%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 2020년 3월 말(0.93%) 이후 처음이다. 가계여신은 0.32%로 변화가 없었고, 주택담보대출은 0.23%로 소폭 올랐다. 신용카드채권은 1.93%로 0.08%포인트 하락했다.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165.5%로 전 분기 대비 5%포인트, 전년 동기 대비 22.5%포인트 낮아졌다. 다만 과거와 비교하면 여전히 양호한 수준이라는 평가다.
금감원은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잔액과 비율은 반기 말 연체정리 확대 영향으로 전 분기 수준을 유지했다”며 “향후 신용위험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부실채권 관리와 대손충당금 적립 강화를 유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경호 더파워 기자 lkh@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