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최병수 기자] 한국의 제조업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내달 1일 예정된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가 발효될 경우 한국 경제가 전방위적으로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7일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제조업 실질 부가가치 비중은 27.6%로, OECD 평균(15.8%)을 크게 웃돌았다. 이는 전통 제조업 강국인 독일(20.1%), 일본(20.7%)보다 높은 수치로, 아일랜드(31.0%)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같은 기간 서비스업 비중은 59.8%(2015년)에서 63.0%(2023년)로 확대됐다.
한국은 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 등 첨단 제조업뿐만 아니라 자동차·조선·철강 등 전통 제조업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어 수출 의존도가 높다. 지난해 한국의 GDP 대비 총수출 비중은 44.4%로 OECD 평균(30.0%)보다 14%포인트가량 높았으며, 대미 수출 비중은 18.8%에 달했다.
미국은 내달 1일부터 한국산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며, 기존 자동차(25%), 철강(50%) 등 품목 관세 외에 기본 10% 관세가 적용된다. 이에 따라 한국의 주요 수출품인 반도체, 자동차, 이차전지 등의 가격 경쟁력이 급격히 약화되고 대미 수출 감소, 제조업 생산 위축, 투자와 고용 축소로 이어져 성장률 하락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한국 정부는 관세 발효 전 협상 타결을 위해 미국 측과 협상을 진행 중이나, 미국이 농축산물 시장 개방과 대규모 대미 투자 확약을 요구하며 난항을 겪고 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오는 31일(현지시간)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과 최종 담판을 시도할 계획이다.
최병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