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현장 달라지지 않아… 택배사-노조대표 만나 노사협정서 체결" 요구
[더파워=박현우 기자] 분류작업에 대해 택배노사가 사회적 합의를 한 지 6일만에 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이 다시 총파업에 돌입하기로 했다.
택배노조는 27일 오후 2시 서울 중구 한진택배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20~21일 양일간 진행한 택배노조 총파업 조합원 찬반투표 결과 전체 조합원 중 97%가 투표해 91% 찬성으로 가결됐다”며 “29일 전면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21일 택배업계 노사는 택배 노동자 과로사 방지를 위한 분류작업 책임 문제 등에 대해 ‘과로사 대책 1차 합의문’에 서명했다.
합의문에는 분류작업을 택배 노동자의 기본 작업 범위에서 제외하고 사측이 분류작업 전담 인력을 투입하는 등 택배 노동자의 과로 방지를 위한 내용이 담겼다.
노조는 “분류작업은 장시간 무임금 노동으로 무려 28년간 부당하게 전가돼왔던 분류작업에서 택배 노동자들을 해방시켜 준 것”이라며 “택배 노동자들은 이번 사회적 합의에 매우 큰 기대를 걸고 있었지만 택배 현장은 달라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10월 택배 기사의 과로사 문제가 불거지자 CJ대한통운은 4000명, 롯데와 한진택배는 각각 1000명의 분류인력을 투입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노조는 투입 계획에 대해 “사회적 합의문에 명시된 대로 택배 노동자 개인별 택배 분류를 감당하기에 턱없이 부족한 것”이라며 “택배사들은 보여주기 식·생색내기 식 대책으로 여전히 일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원청사인 택배사가 노동조합을 인정하고 분류작업과 관려해 택배사-노조 대표가 직접 만나 노사협정서를 체결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어 “택배노동자들은 사업장 내 과로사라는 중대 재해가 연이어 발생해도 문제 해결에서 법적 강제력이 있는 노사협약은 꿈도 꾸지 못한 채 사회적 합의에만 집중하게 되고 반복되는 택배사의 합의 파기에도 사실상 누구도 규제하지 못하고 있는 절망적 상황”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국민 여러분께서 택배 노동자들을 살리자는 마음으로 총파업을 선택한 택배 노동자에게 손을 내밀어달라”며 “택배 노동자만이 아닌 국민 모두가 함께하는 총파업을 슬리로 만들어달라”고 호소했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