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최병수 기자] 정부가 최근 우리 경제에 대해 “경기 하방 압력이 여전한 가운데, 소비심리 개선 등 일부 긍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침체 흐름이 이어지고 있지만, 민생 추가경정예산과 소비심리 회복을 중심으로 완만한 개선 가능성에 무게를 실은 것으로 풀이된다.
기획재정부는 18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7월호에서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 부문을 중심으로 고용 애로가 지속되고 있다”며 “미국의 관세 부과에 따른 대외여건 악화로 수출 둔화 우려가 이어지는 등 경기 하방 압력은 여전하다”고 밝혔다. 다만 “소비자심리 개선 등 긍정적인 신호도 나타나는 모습”이라고 덧붙였다.
실제 6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8.7로 전월(101.8)보다 6.9포인트 상승하며 기준선(100)을 상회했다. 주가 상승, 전국민 대상 소비쿠폰 지급 기대 등이 심리 개선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의 경기선행지수는 101.08로, 2020년 말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5월 소매판매는 내구재(1.2%), 준내구재(0.7%)는 증가했지만 비내구재는 0.7% 줄어 전체적으로는 전월 수준에 머물렀다. 같은 달 전산업 생산은 전월 대비 1.1% 감소해 두 달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고, 제조업 생산은 자동차 등을 중심으로 3.0% 줄었다. 설비투자도 4.7% 감소했고, 서비스업 생산 역시 0.1% 줄었다.
고용시장 역시 회복세가 미약하다. 6월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18만3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고, 제조업(-8만3000명)과 건설업(-9만7000명) 취업자는 감소세가 이어졌다.
수출 부문에서는 반도체 업황 개선과 선수요 증가 등의 영향으로 6월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4.3% 늘었고, 일평균 수출액도 6.8% 증가했다. 하지만 석유화학, 철강 등 주요 품목은 부진을 면치 못한 상황이다.
정부는 오는 21일부터 지급 예정인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내수 활성화의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조성중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추경과 쿠폰 지급이 소비와 지역경제에 긍정적 작용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경기·민생 회복을 위한 31조8000억 원 규모의 추경을 신속히 집행하고, 미국 관세로 인한 기업 피해에도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최병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