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정세균 국무총리가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조성복 기자] 정부가 9일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수도권 2단계·비수도권 1.5단계)와 5인 이상 모임 금지 조치를 3주 연장하기로 했다.
코로나19 확산세가 거센 수도권과 부산은 다음주부터 단란주점, 콜라텍, 헌팅포차 등 유흥시설 영업을 금지하기로 했다. 특히 수도권의 경우 노래연습장, 헬스장, 식당, 카페 등의 영업시간 제한은 당분간 현행대로 오후 10시까지 유지하되 감염확산 상황에 따라 영업제한 시간을 언제라도 오후 9시로 앞당기기로 했다. 이번 방역조치 조정안은 오는 12일부터 적용된다.
서민 경제에 큰 피해를 끼치는 거리두기 단계 격상 대신 집단감염이 빈발하는 시설을 중심으로 '핀셋 방역' 조치를 강화한 것이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그토록 피하고자 했던 4차 유행의 파도가 점점 가까워지고 더 거세는 형국"이라며 이 같은 방침을 밝혔다.
정 총리는 "오랫동안 유행이 진행된 수도권에서는 누적된 숨은 감염원을 찾는 일이 시급하다"며 '의심 증상을 보이는 분들은 반드시 검사를 받도록 의무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수도권 외 지역은 거리두기 1.5단계를 유지하되, 유행 상황에 따라 지자체 판단으로 단계 격상이나 다양한 방역 강화 조치를 적극 시행하겠다"고 덧붙였다.
정 총리는 "거리두기 단계 조정보다 더 중요한 것은 방역수칙 실천력을 회복하는 것"이라며 "이번주부터 의무화된 기본 방역수칙이 정착될 때까지 위반행위에는 무관용 원칙으로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오늘 결정하는 조정 방안만으로는 4차 유행 기세를 막기에 역부족일 수 있다"며 "정부는 대다수 국민이 예방접종에 참여하기 전까지 방역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특단의 대책을 고민해왔고, 이를 다음주 초 상세히 보고드리겠다"고 말했다.
실제로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700명)보다 29명 줄은 671명을 기록했다. 지난해 11월 중순부터 시작된 3차 유행이 가라앉지 않은 상태에서 4차 유행으로 번지는 양상이다.
지난 3일부터 이날까지 최근 일주일간 발생한 신규 확진자는 일별로 543명→543명→473명→478명→668명→700명→671명을 나타냈다. 이 기간 400명대, 500명대, 600명대가 각각 두 번이고 700명대가 한 번이다.
최근 일주일간 하루 평균 582명꼴로 확진자가 나온 가운데 거리두기 단계 조정의 핵심 지표인 일평균 지역발생 확진자는 559명으로 거리두기 2.5단계(전국 400~500명 이상 등) 기준을 상회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