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유연수 기자] 삼성전자가 체결한 22조7648억원 규모의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계약의 주인공은 테슬라인 것으로 확인됐다.
경영상 비밀 유지를 이유로 공개되지 않았던 계약 상대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입을 통해 직접 드러난 것이다.
삼성전자는 28일 공시를 통해 글로벌 대형 기업과 총 22조7648억원 규모의 파운드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 기간은 지난 24일부터 2033년 12월 31일까지로, 8년 이상에 걸친 장기 계약이다. 이는 삼성전자 지난해 매출액(300조8709억원)의 7.6%에 해당하며, 단일 고객 기준으로 반도체 부문 사상 최대 규모다.
삼성전자는 경영상 비밀 유지를 이유로 계약 상대를 밝히지 않았지만,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계약 사실을 공개하면서 거래 상대가 테슬라인 것으로 확인됐다.
머스크 CEO는 27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엑스(X)를 통해 "삼성의 텍사스 대형 공장이 테슬라의 차세대 AI6 칩 생산에 전념할 것"이라며 "이 공장의 전략적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삼성은 테슬라의 제조 효율성 극대화를 돕는 데 동의했다"며, 본인이 직접 공장을 방문해 생산 속도를 높이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테슬라가 개발한 AI4·AI5·AI6 칩은 완전자율주행(FSD) 기능에 탑재되는 핵심 반도체로, 현재 삼성은 AI4 칩을 평택 공장에서 양산 중이며, AI6 칩은 내년 가동 예정인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 공장에서 2나노 첨단 공정을 통해 생산될 예정이다. AI5 칩은 대만 TSMC가 우선 생산하고, 이후에는 애리조나 공장에서 양산에 돌입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2021년 테일러에 170억달러를 투자해 신규 파운드리 공장 건설 계획을 발표한 바 있으며, 이후 440억달러로 투자 규모를 늘렸지만 고객 확보와 인력 수급 문제로 양산 일정이 지연돼왔다. 그러나 이번 테슬라와의 대규모 계약으로 현지 수요 기반을 확보함에 따라 생산 일정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업계는 이번 계약을 계기로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이 반등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은 2분기에도 1조원 미만의 영업이익을 낸 것으로 추정되며, 그간 적자의 주요 원인으로 파운드리 사업의 부진이 지목돼왔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번 계약으로 삼성전자 파운드리 매출이 연간 10%가량 증가할 것”이라며 “실적 부진에서 벗어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머스크 CEO는 “165억달러(한화 약 23조원)는 최소 금액이며, 실제 생산량은 이보다 몇 배 더 많아질 것”이라고 밝혀 향후 추가 수주 가능성도 시사했다.
이번 수주를 계기로 삼성전자는 2분기 실적 발표 및 컨퍼런스콜(오는 31일 예정)에서 파운드리 사업을 전면에 내세울 것으로 예상된다.
유연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