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최병수 기자] 올해 4분기 은행권 가계대출 문턱이 계속 높아질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27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에서 국내은행의 올해 4분기 대출태도지수가 -14를 기록해, 가계 중심으로 대출 문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한국은행 조사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대출태도는 3분기(-28)에 이어 4분기에도 강화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계 부문이 중심이다. 은행의 가계주택 대출태도지수는 -28, 가계일반 대출태도지수는 -19로 집계돼, 전분기(-53, -36)에 비해 강화 폭은 다소 줄었으나 여전히 보수적인 대출 기조가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6·27 부동산 대책과 가계대출 총량 감축, 주택담보대출 한도 제한, 스트레스 금리 상향 등의 후속 조치 영향으로 주택 관련 대출과 신용대출 모두에서 강화 기조가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기업에 대한 대출태도는 다소 완화될 것으로 조사됐다. 대기업 대출태도지수는 0에서 6으로, 중소기업은 -6에서 3으로 개선돼 운전자금과 유동성 확보를 위한 대출 여건이 나아질 전망이다.
대출수요 종합지수는 -5로, 3분기(-6)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가계 부문은 정부의 부채관리 정책 여파로 주택 관련 대출수요가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11)과 중소기업(19)은 자금조달 수요 증가로 대출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됐다.
신용위험 종합지수는 25로 전분기(28)보다 소폭 하락했으나, 가계의 신용위험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은은 “국내외 경제 불확실성과 취약차주 중심의 건전성 악화 우려로 기업과 가계 모두 경계감이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비은행금융기관도 대출태도 강화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6·27 대책 이후 비은행권의 신용대출 관리 강화와 연체율 상승이 지속되면서 상호저축은행·상호금융조합 등을 중심으로 보수적 대출 심사가 확대되고 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일부터 15일까지 국내은행 18곳을 포함한 총 203개 금융기관 여신 총괄책임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최병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