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최병수 기자] 금융당국이 핀테크 기업에 중점 투자하는 '핀테크 혁신펀드'를 기존 5천억원에서 총 1조원으로 5천억원 늘리기로 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열린 산업은행 주최 스타트업 투자유치 행사(넥스트라운드 2022: 핀테크 스페셜 라운드)에 참석해 "핀테크 기업들이 어려운 시기를 극복하고 금융산업의 미래를 견인할 혁신역량을 확충할 수 있도록 정책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핀테크 혁신펀드는 KB·NH·신한·우리·하나 등 주요 금융 그룹과 지방은행, 은행권청년창업재단, 코스콤이 참여한 민간 주도의 펀드다. 창업 5년 이내 초기 핀테크 스타트업 투자와 초기 이후 규모 확대(스케일업)·해외 진출 지원 투자하기 위해 조성했다.
핀테크 혁신펀드는 금융권 출자를 바탕으로 한국성장금융이 2020∼2023년 총 5천억원을 투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4∼2027년 5천억원을 추가로 결성해 총 투자액을 1조원으로 늘린다는 게 정부의 계획이다.
김 위원장은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P2P) 등 새로운 핀테크 분야에 대한 현장의 애로사항을 적극 수렴하고 규제를 정비해 나가겠다"며 "또한 금융권이 디지털 신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활용할 수 있도록 비중요 업무이거나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경우의 클라우드 및 망분리 규제 완화도 지속해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 규제 샌드박스 제도 운용은 실질적으로 중소 핀테크 기업의 창업·성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하기로 했다. 금융혁신위원회는 금융위원장 단독에서 민간·금융위원장 공동으로 체제를 바꾼다. 핀테크 스타트업의 법률·회계·경영 등 전반을 밀착 지원하기 위한 전문가 지원단도 구성한다.
이밖에 다양한 데이터가 금융서비스 혁신에 활용될 수 있도록 마이데이터 정보제공범위를 현재 492개에서 내년 상반기까지 720개로 확대하고 인공지능(AI)을 통한 빅데이터 활용이 촉진되도록 AI 데이터 라이브러리와 금융 AI 테스트베드를 구축하는 등 다양한 금융혁신 인프라 구축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