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메뉴
검색버튼

산업

지역 중소제조업 60.8% “인력난 겪고 있다”…한경협 “수도권 중장년 지방 취업 유도해야”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5-10-24 08:59

공유하기

닫기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트위터

텍스트 크기 조정

닫기
@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연합뉴스
[더파워 유연수 기자] 지역 중소기업 2곳 중 1곳이 인력난을 겪고 있는 가운데, 특히 제조업의 인력난 비율이 60%를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지역 중소기업 인력난 현황 및 정책과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한경협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수도권과 제주를 제외한 지역 중소기업 50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51.4%가 “현재 인력난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제조업 부문은 이 비율이 60.8%로, 다른 업종보다 인력 부족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난이 가장 심한 직종은 기술·생산직(35.3%)으로 조사됐으며, 이어 서비스직(27.7%), 사무·관리직(12.1%), 연구개발직(10.0%) 순이었다. 주요 원인으로는 ‘낮은 급여 및 복리후생’(32.9%)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업종·직종 특성’(16.6%), ‘지역 인구 감소 및 인재 유출’(12.4%), ‘구직자의 수도권 선호’(11.1%)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지역 중소기업의 절반 이상(52.2%)은 50대 이상 중장년층을 채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인력난을 겪는 기업 중에서는 60.7%가 “중장년 채용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기업들은 중장년의 강점으로 풍부한 업무 경험과 전문성(31.0%), 책임감과 성실성(29.9%) 등을 꼽았다.

한경협은 이 같은 인력난 해소 방안으로 수도권 베이비붐 세대(1955~1974년생 약 800만명)의 지방 중소기업 취업을 유도하는 ‘3자 연합 모델’을 제안했다. 이는 수도권 중장년층, 지역 중소기업, 지방 중소도시가 상생하는 구조로, 귀촌 인센티브를 중심으로 한 고용 촉진 정책을 포함한다.

조사에 참여한 기업의 45.8%는 ‘3자 연합 모델’이 인력난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했으며, 정책 활성화를 위해 ‘귀촌 중장년 채용 시 기업 인센티브 지급’(23.5%)과 ‘임대주택 등 안정적 주거 지원’(21.0%)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이상호 한국경제인협회 경제산업본부장은 “지역 인구 감소로 인해 중소기업들이 인력난을 겪으며 경영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며 “수도권 베이비붐 세대의 귀촌과 지역 재취업을 촉진하면 인력난 완화뿐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연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주요뉴스
경제
산업
IPO·주요공시·증권리포트
더파워LIVE
정치사회
문화
글로벌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