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메뉴
검색버튼

정치사회

청소년 알바생 절반, 음식점서 일했다…전단지·편의점은 줄고 플랫폼 노동 늘어

이우영 기자

기사입력 : 2025-07-23 09:36

공유하기

닫기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트위터

텍스트 크기 조정

닫기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이우영 기자] 지난해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아르바이트한 일터는 음식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과거 청소년 일자리로 흔했던 전단지 배포, 편의점 등은 크게 줄고, 플랫폼 노동과 콘텐츠 제작 등 디지털 기반의 새로운 일자리가 부상한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발표한 ‘청소년 근로 실태 및 권리 보장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중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 청소년 915명 가운데 39.3%가 음식점에서 일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뷔페·웨딩홀(13.6%), 카페·베이커리(7.2%)보다 3배 이상 높은 수치다.

음식점은 10년 전인 2014년 같은 조사에서도 가장 많은 응답자(32.8%)가 꼽은 일자리였다. 그러나 그 외 업종에선 변화가 두드러졌다. 2014년 청소년 아르바이트 중 2위였던 ‘전단지 알바’는 당시 22.4%에 달했지만, 지난해에는 2.3%로 급감했다. 편의점도 같은 기간 9.3%에서 4.1%로 절반 이상 줄었다.

반면 플랫폼 노동(5.8%), 배달(3.3%), 콘텐츠 크리에이터(3.3%) 등 디지털 환경과 연계된 새로운 형태의 일자리는 처음으로 주요 업종으로 부상했다.

청소년 근로 경험률 자체는 감소했다. ‘지금까지 일을 해본 적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2014년 25.1%에서 지난해 17.5%로 7.6%포인트 낮아졌다.

근로계약서 작성률은 상승했다. 지난해 계약서를 썼다고 응답한 비율은 57.7%로, 10년 전(25.5%)보다 두 배 이상 늘었다.

고용주로부터 부당행위를 겪은 경험은 일부 줄었지만 여전히 적지 않은 수준이었다. ‘정해진 임금보다 적게 받거나 받지 못했다’는 응답은 12.8%(2014년 17.5%), ‘초과근무 수당 미지급’은 13.8%(19.0%)로 감소했으나, ‘임금을 제때 받지 못했다’는 응답은 15.5%로 10년 전(16.4%)과 비슷했다. ‘맡은 일 외 다른 업무를 강요받았다’는 응답은 2014년과 같은 16.1%로 나타났다.

한편 노동인권 교육 경험률은 10년 새 16.5%에서 52.8%로 3배 이상 증가했고, 산재보험, 최저임금 등 근로 관련 제도에 대한 인식도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우영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주요뉴스
경제
산업
IPO·주요공시·증권리포트
더파워LIVE
정치사회
문화
글로벌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