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유연수 기자] KT가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두산디지털이노베이션, EBS, 중앙일보, 한글학회 등과 손잡고 ‘K 데이터 얼라이언스’를 출범시키며 한국적 인공지능(AI) 생태계 조성에 본격 착수했다. KT는 16일 서울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에서 얼라이언스 협약식을 열고, 총 7개 기관과 고품질 AI 학습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협력 체계 구축을 선언했다고 밝혔다.
K 데이터 얼라이언스는 한국어 고유 표현, 사회·문화적 맥락, 국민의 언어습관 등 ‘한국적 정체성’을 AI에 반영하기 위한 고도화된 데이터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목표다. KT는 얼라이언스의 주관사로, 각 기관이 보유한 콘텐츠를 AI 학습이 가능한 데이터로 가공·구조화해 독자 개발한 초거대언어모델 ‘믿:음 2.0’을 포함한 다양한 한국형 AI 모델로 연결할 방침이다.
이번 협약에는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두산디지털이노베이션, 아이스크림에듀, 중앙일보, EBS, 한글학회 등 다양한 분야의 기관이 참여했다. 이들은 향후 ▲한국적 AI용 데이터 구축 ▲도메인별 선도 사례 창출 ▲성과 확산 및 홍보 ▲인문·사회 분야의 연구 협력 등을 중점 추진할 예정이다.
KT는 교육, 언어, 언론 등 각 영역에서 대표성을 갖춘 기관들의 참여를 이끌어내며, 한국형 AI 개발을 위한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확보에 방점을 뒀다. 특히 EBS의 학습 콘텐츠, 중앙일보의 시의성 있는 뉴스 데이터, 한글학회의 언어·문맥 자료는 한국어 기반 추론 능력 강화를 위한 핵심 자원으로 평가받고 있다.
KT는 얼라이언스를 구심점으로 정기 협의체를 운영하고, 참여기관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며 ‘데이터-모델-서비스’로 이어지는 실용 중심의 한국형 AI 생태계를 구축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오승필 KT 기술혁신부문 부사장은 “한국적 AI는 단순한 기술을 넘어 국가 경쟁력과 산업의 미래를 좌우할 핵심 인프라”라며 “K 데이터 얼라이언스를 중심으로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실용적이고 신뢰 가능한 AI 구현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유연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