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메뉴
검색버튼

이슈포커스

트럼프, 한국에 25% 관세 서한 발송…“관세 리스크 증폭보다 해소 신호”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5-07-08 10:11

공유하기

닫기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트위터

텍스트 크기 조정

닫기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최병수 기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8월 1일부터 한국과 일본산 제품에 25%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서한을 발송하면서 관세 불확실성이 다시 고개를 들었지만, 금융시장은 이를 리스크 확대보다는 ‘해소의 신호’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iM증권은 8일 보고서를 통해 “이번 관세 서한은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 우선주의 무역 정책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재확인한 조치지만, 시장에 충격을 줄 수준은 아니다”라며 “오히려 관세 체계가 명확해지고 있어 불확실성 해소 단계로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실제 이번 서한에 포함된 25% 관세율은 한국에 대해 지난 4월 9일 발표된 수준과 동일하며, 일본은 기존 24%에서 1%포인트만 상향된 수준이다. 말레이시아(24→25%) 외에도 미얀마(44→40%), 라오스(48→40%), 카자흐스탄(27→25%) 등 일부 국가는 오히려 관세율이 낮아졌다.

보고서는 “관세율 조정 폭이 제한적인 데다, 고율 관세 품목인 자동차(25%)나 철강·알루미늄(50%) 등은 이번 협상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보여, 단기적으로 관세 쇼크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특히 미국이 EU, 멕시코, 캐나다, 인도, 브라질 등 주요 교역국에 대해서는 아직 서한을 발송하지 않았다는 점이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iM증권은 “EU와의 협상이 9일 원칙적 타결을 목표로 진행 중인 만큼, 주요국과의 협상이 순차적으로 마무리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향후 관세 정책의 방향성과 관련해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선호하는 ‘상호관세 체계’가 구체화되는 양상이다. iM증권은 “국가별 차이는 있겠지만 주요국 관세율은 10~20% 수준에서 정리될 것으로 보이며, 한국 역시 이 범위 내 하향 조정 여부가 관건”이라고 밝혔다.

다만 일부 국가에 대해서는 보복 성격의 고율관세 가능성도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미 성향이 강한 브릭스 국가들에 대해 10% 추가 관세를 언급한 바 있다.

iM증권은 “7월은 관세 리스크가 다시 부상하는 시점이 아니라 오히려 해소 단계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며 “8월 1일까지 한국·일본 등과 협상이 타결될 경우, 글로벌 금융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최병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주요뉴스
경제
산업
IPO·주요공시·증권리포트
더파워LIVE
정치사회
문화
글로벌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