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최병수 기자] 지난해 산업생산과 소비, 투자가 모두 늘어나며 2년 연속 '트리플 증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12월 생산은 32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고, 투자도 7% 넘게 줄었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전(全)산업 생산지수(원지수, 농림어업 제외)는 116.4(2015년=100)로 전년보다 3.3% 증가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을 포함한 광공업 생산이 1.4%, 서비스업 생산이 4.8% 각각 늘었다.
제조업 생산은 반도체(10.6%), 자동차(9.8%) 등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숙박·음식업(19.2%), 예술·스포츠·여가업(27.0%), 운수창고업(8.6%) 등에서 크게 늘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불변지수)는 119.8(2015년=100)로 전년보다 0.2% 늘었다.
설비투자는 1년 전보다 3.3% 증가했다. 특수산업용기계 등 기계류(2.9%) 및 자동차 등 운송장비(4.3%)에서 투자가 모두 늘었다. 건설기성도 공사실적 등 증가 영향으로 1년 전보다 2.5% 증가했다.
하지만 12월 한 달로 보면, 전산업생산은 전월보다 1.6% 감소했다. 2020년 4월(-1.8%) 이후 32개월 만의 최대 감소 폭이다. 전산업생산은 지난 7월부터 10월까지 연속 감소하다가 지난 11월 소폭 반등했지만, 12월에 다시 꺾였다.
제조업(-3.5%)을 비롯한 광공업 생산이 2.9% 줄었다. 반도체(4.9%), 1차금속(3.1%) 생산이 전월보다 늘었지만 자동차(-9.5%), 전자부품(-13.1%)등은 수출 부진 영향으로 크게 감소했다.
서비스업 생산도 0.2% 줄면서 4개월 연속 감소를 기록했다. 서비스업 생산이 4개월 연속 감소한 것은 2010년 6∼9월 이후 12년 3개월 만에 처음이다.
반도체 제조용 기계, 자동차 등 운송장비 등 투자가 줄면서 투자는 전월 대비 7.1% 급감했다. 그나마 소비는 의복과 화장품 등 판매가 늘면서 전월보다 1.4% 증가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0.9로 0.9포인트 하락했다. 하락 폭은 2020년 4월(-1.2포인트) 이후 32개월 만에 가장 컸다.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98.5로 0.5포인트 떨어졌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작년 7월부터 6개월 연속 하락했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