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메뉴
검색버튼

경제

국민 혈세로 메워야 할 적자성 국가채무 내년 800조 육박

이경호 기자

기사입력 : 2023-09-04 04:49

공유하기

닫기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트위터

텍스트 크기 조정

닫기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이경호 기자] 국가채무 가운데 국민 세금으로 갚아야 하는 적자성 국가채무가 내년 800조원에 육박할 정도로 늘어난다.

3일 정부가 2024년도 예산안과 함께 마련한 ‘2023∼2027년 국가채무관리계획’에 따르면 내년 적자성 채무는 792조4000억원으로 올해 예산(721조3000억원)보다 9.9% 늘어난다.

적자성 채무는 채무에 대응하는 자산이 없거나 부족해 향후 세금 등을 재원으로 상환해야 하는 채무로, 일반회계 적자를 메우기 위해 발행하는 국채가 대표적이다.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국민주택채권처럼 대응 자산이 있어 자체 상환이 가능한 금융성 채무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연도별로 보면 적자성 채무는 2017년 374조8000억원에서 2018년 379조2000억원, 2019년 407조6천억원, 2020년 512조7천억원, 2021년 597조5000억원, 지난해 676조원 등으로 최근 해를 더하며 빠르게 늘었다. 내년 적자성 채무 전망치(792조4000억원)는 7년 전인 2017년의 2.1배 수준이다.

전체 국가채무에서 적자성 채무가 차지하는 비중도 점차 높아지는 추세다.

적자성 채무의 비중은 지난해 63.3%에서 올해 63.6%, 내년 66.2%, 2025년 66.7%, 2026년 67.6%로 오르다가 국가 채무가 1417조6000억원 규모로 불어나는 2027년에는 68.3%까지 높아질 것이라는 게 정부의 전망이다.

국가 채무가 늘면서 매년 이자로 지출해야 하는 돈도 늘고 있다.

이자 지출은 올해 22조9000억원에서 내년 27조4000억원, 2025년 29조6000억원, 2026년 32조3000억원, 2027년 34조8000억원으로 연평균 11.0% 증가할 전망이다.

이 중 주택도시기금 국공채 이자, 우체국예금특별회계 지급이자 등을 제외하고 정부의 국채 발행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자는 공공자금관리기금(공자기금) 국채이자다.

정부는 재정지출 확대에 따른 적자성 채무 증가, 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공자기금 국채이자가 올해 19조2000억원에서 2027년 30조원까지 불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공자기금 국채이자 지출 전망을 연도별로 보면 올해 19조2000억원, 내년 22조5000억원, 2025년 24조7000억원, 2026년 27조4000억원, 2027년 30조원이다. 올해부터 2027년까지 5년간 공자기금 국채이자로 123조8000억원, 전체 국가채무 이자 비용으로는 147조원이 나가는 셈이다.

정부는 "내년에는 국세 수입 규모 감소에 따라 일반회계 적자국채 발행 규모가 증가하지만 2025년 이후 2024년 대비 발행 규모가 축소될 전망"이라며 "건전재정 기조를 견지하며 강력한 지출 재구조화, 재정준칙 법제화 등 재정 혁신을 지속해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주요뉴스
경제
산업
IPO·주요공시·증권리포트
더파워LIVE
정치사회
문화
글로벌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