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메뉴
검색버튼

경제

자산 팔아도 빚 못 갚는 가구 40만 육박…"지방이 더 위험하다"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5-03-27 13:40

공유하기

닫기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트위터

텍스트 크기 조정

닫기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사진=연합뉴스
자산을 팔아도 빚을 감당하지 못하는 이른바 '고위험가구'가 전국적으로 40만 가구에 육박하는 가운데, 특히 지방을 중심으로 이들 가구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주택 가격 하락과 지역 경기 침체가 맞물리며 지방 취약가구의 부채 상환 부담이 커질 것이란 분석이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2024년 3월 금융안정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금융부채 고위험가구는 지난해 3월 기준 38만6000가구로 전체 금융부채 보유 가구의 3.2%를 차지했다. 이들이 떠안은 금융부채는 72조3000억 원에 달해 전체 금융부채의 4.9%를 차지했다.

고위험가구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40%를 넘고, 자산대비부채비율(DTA)도 100%를 초과하는 가구로, 소득과 자산 양쪽 모두에서 부채 상환 능력이 부족한 상태다. 이들의 DSR 중윗값은 75%, DTA 중윗값은 150.2%로 집계돼 채무상환 여력이 크게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부실 위험이 큰 가구의 비중은 2023년(3.5%)보다 다소 낮아졌지만, 2022년(2.6%)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2017년부터 2024년까지의 장기 평균인 3.1%를 웃돌고 있다.

한은은 특히 지방 고위험가구의 증가 가능성을 경고했다. 지방의 경우 고위험가구 중 60세 이상 고령층 비중이 18.5%로, 수도권(5.1%)보다 훨씬 높았다. 고령층이 많을수록 소득 창출 여력이 떨어져 상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보고서는 올해 주택가격 전망치(지방 -1.7%, 수도권 +0.9%)를 반영해 올해 말 고위험가구 비중을 예측했다. 이에 따르면 지방은 5.6%, 수도권은 4.0%로 격차가 1.6%포인트까지 벌어질 전망이다. 작년 말 기준 지방과 수도권의 고위험가구 비중은 각각 5.4%, 4.3%였다.

한은은 “지방의 경제 성장세가 수도권보다 부진한 가운데, 주택시장 침체가 이어질 경우 부동산 자산 가치가 줄어들면서 부채 상환 여력이 더 약화될 수 있다”며 “부실 리스크가 확대되지 않도록 관련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정부 대응의 효과도 지속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주요뉴스
경제
산업
IPO·주요공시·증권리포트
더파워LIVE
정치사회
문화
글로벌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