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메뉴
검색버튼

산업

美, 2037년까지 최대 448척 선박 발주…韓, LNG·차세대 선박 등 ‘윈윈’ 협상안 마련 시급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5-05-19 10:49

공유하기

닫기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트위터

텍스트 크기 조정

닫기

LNG 운반선 현지화 검토, 해군 함정은 MRO 및 수송·상륙함 초점, 차세대 선박은 한미공동기금 마련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사진=연합뉴스
미국이 조선산업 재건을 위한 정책 추진에 따라 2037년까지 최대 448척의 선박을 발주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한국은 LNG 운반선, 상선, 군함 유지보수(MRO), 차세대 선박 기술 등 사업성이 높은 분야를 중심으로 미국과의 전략적 협력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인협회는 류민철 한국해양대학교 교수에게 의뢰해 발간한 '미국 조선산업 분석 및 한미 협력에서의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4월 9일 ‘미국 해양 지배력 회복을 위한 행정명령(EO 14269)’에 서명하고, 해양 행동계획(MAP) 수립과 해양안보 신탁기금(MSTF) 설립 등을 골자로 한 조선산업 재건정책을 본격화했다. 또한, 중국산 선박과 장비에 대한 제재, 동맹국과의 협력을 통한 해양 주도권 회복도 주요 내용으로 포함됐다.

이러한 기조 아래 미 의회는 2025년 ‘조선 및 항만 인프라법(SHIPS for America Act)’을 발의하며 전략상선단 규모를 250척까지 확대하고, 2047년까지 LNG 수출 물량의 15%를 미국 건조 선박으로 운송하도록 규정했다. 여기에 미 해군은 향후 30년간 364척의 군함 신조 계획을 밝힌 바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쇄빙선 40척 발주도 예고한 상태다.

보고서는 미국의 조선산업 재건정책에 따라 2037년까지 발주될 선박 수를 최소 403척에서 최대 448척으로 추산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 상선과 LNG 운반선 중심의 현지화 전략을 추진하는 한편, 중형급 선박 중심의 미국 전략상선단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중형 조선업계와의 민관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군함 분야는 단기적으로 MRO 등 선체 중심의 유지보수에서 신뢰를 확보한 뒤, 점차 무기체계 통합 유지보수로 확대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신조 분야에서는 수송·지원함, 상륙함 등을 중심으로 진출을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차세대 선박 부문에서는 CO₂ 운반선, 액체수소 운반선, 자율운항선박 등의 기술개발과 사업화를 위한 한미 공동기금 조성을 제안했다.

또한 보고서는 미국 조선소 인수 및 현지 기자재 사업 투자에 필요한 정부 간 협의, 미국 인프라 정비, 현지 인력 충원과 관련된 국내 인력 유출 방지 대책, 조선 기술 해외 수출 규제 완화 필요성 등을 제기했다.

아울러 미국의 선박 건조 경험이 부족한 LNG 운반선과 쇄빙선 등은 단기적으로 한국에서 먼저 건조한 후, 미국 현지 인력을 건조 과정에 참여시켜 기술을 전수하는 방식의 협력 모델도 검토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보고서는 조선산업 육성 전략 마련을 위해 외교, 통상, 산업, 금융, 물류 등 범정부 차원의 통합적 시각이 필요하다고 지적하며, 전담 조선산업 연구소 설립도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미국의 조선산업 재건은 한국 조선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며, “자율운항선박·수소선박 등 미래형 선박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스마트 조선소 구축을 통한 생산성 향상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주요뉴스
경제
산업
IPO·주요공시·증권리포트
더파워LIVE
정치사회
문화
글로벌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