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하면 3대 망하고 친일하면 3대 흥한다는 말 이제 사라져야"
이재명 대통령이 6일 제70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보훈은 희생과 헌신에 대한 최소한의 예우이자, 국가가 반드시 다해야 할 책임과 의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모두를 위한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주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추념식에서 “순국선열과 호국영령들의 명복을 빌며 머리 숙여 경의를 표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특히 해군 해상 초계기 사고와 화재 현장에서 순직한 소방관의 유가족들을 언급하며 “우리 국민은 고인들의 헌신을 뚜렷이 기억할 것”이라며 깊은 위로를 전했다.
이 대통령은 “지금 우리가 누리는 자유와 평화, 풍요와 번영이 어디서 비롯되었는지 잊지 말아야 한다”며 “현충일을 기리는 이유는 기억하고, 기록하고,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독립운동가, 참전용사, 민주화운동 참여자 등 역사적 헌신을 언급하며 “그 고귀한 희생 덕분에 대한민국은 전 세계가 부러워하는 민주주의 국가로 성장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보훈 정책과 관련해선 국가유공자와 유가족에 대한 예우를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 대통령은 “참전유공자의 배우자가 생활의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지원을 강화하겠다”며 “가까운 곳에서 의료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보훈의료체계도 개선할 것”이라고 했다. 또 군 경력에 대한 정당한 보상 현실화, 제대군인 처우 개선도 약속했다.
이와 함께 이 대통령은 제복 입은 공무원들의 헌신에도 경의를 표하며 “국민을 지키는 이들이 걱정 없이 일할 수 있도록 복무 여건을 개선하겠다”며 “대한민국이 그들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끝으로 그는 “전쟁 걱정 없는 평화로운 나라, 일상이 흔들리지 않는 안전한 나라를 만드는 것이야말로 거룩한 희생에 대한 가장 책임 있는 응답”이라며 “국난 앞에서 ‘나’보다 ‘우리’를 앞세운 국민의 저력으로 반드시 이뤄낼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