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스타는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주간심층이슈' 보고서를 중심으로 최근 SVOD(Subscription video on demand)시장의 성장과 함께 주목받기 시작하는 한류 영상 콘텐츠 중심의 SVOD와 광고형 OTT(Over The Top) 스트리밍 서비스들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의 한류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심층분석은 1.SVOD 성장과 미국 방송 콘텐츠 시장 2.미국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 속 한류 영상 콘텐츠 현황 3.한류 영상 콘텐츠에 기반한 스트리밍 서비스 현황 순으로 진행한다.
먼저 넷플릭스(Netflix) 미국 내 구독자 수는 4천713만 명으로 (2016년 6월 30일 기준) 2015년 같은 시기의 4,230만 명에 비해 483만 명 증가했다.6)
미국의 TV프로그램이 해외에서 얻는 인기가 증가함과 동시에 미국 내에서 소비되는 해외 콘텐츠도 증가하고 있다.7)
넷플릭스의 경우 해외 콘텐츠 수요가 70% 증가했으며, 유튜브의 시청자들 중 38%는 해외 콘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플릭스에는 40여 편 이상의 한국 영상 콘텐츠가 서비스 되고 있다. 이 가운데 20여 편은 한국 영화와 다큐멘터리이고, 23여편은 TV드라마이다.
또한, ‘라바(Larva)’, ‘빼꼼(My Friend Bernard)’, ‘캐니멀(Canimals)’등 5개의 한국 애니메이션을 서비스하고 있다. 봉준호 감독의 영화 ‘옥자(Okja)’에 대한 투자를 시작으로 아시아 콘텐츠 제작에 대한 투자를 점차 확대하고 있다.8)
유튜브(YouTube)
유튜브의 KBS World TV 채널은 2016년 9월 기준으로 약 300여만 명의 구독자를 확보하고 있다. 2007년부터 2016년까지 약 17억 회의 조회 수를 기록하고 있다.
KBS는 KBS World TV 채널을 포함해 KBS Entertain, KBS K-pop, Drama KBS등의 유튜브 채널을 활용해 자사의 콘텐츠를 홍보하는데 활용하고 있다. KBS World TV 채널에서 가장 조회 수가 높은 콘텐츠는 엑소(EXO)와 빅뱅(BigBang)을 비롯한 케이팝 뮤지션들과 관련된 콘텐츠들이다.
‘KBS드라마 스페셜(Drama special)’과 ‘슈퍼맨이 돌아왔다(The return of superman)’가 각 1회 방송분 마다 평균 300 - 500만의 조회 수를 기록하고 있다.
지상파 방송국인 MBC, SBS와 케이블 방송국인 CJ E&M, JTBC, 채널A(ChannelA), MBN, TV조선(TV Chosun) 등은 케이팝 관련 콘텐츠와 신규 방송 프로그램의 홍보용 영상들은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른 광고 수익과 프로그램 홍보에 유튜브를 활용하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45%를 유튜브가 가져가는 광고 수익배분 시스템의 수익보다 자체적으로 라인 유통 시장을 개척하거나 라이선스해 익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9)
한국영상자료원은 2011년부터 한국고전 영화 98편을 영문 자막과 함께 제공하고 있다. 총 1천033만의 조회 수를 기록하고 있지만 유튜브 에서 찾을 수 있는 상당수의 한국 영화와 애니메이션이 저작권 침해소지를 가지고 있다. 대신 구글 플레이 스토어(Google play store)에서 페이퍼뷰(Pay per view) 방식으로 시청할 수 있다. 가격은 USD 1.99 - 3.99 달러 사이이다.
훌루(Hulu)
훌루는 28여 편의 한국 드라마와 46편의 한국 영화, 2편의 애니메이션을 서비스 중이다.10)
훌루는 다양한 한국 드라마 공급사를 통해 콘텐츠를 직 간접적으로 공급하고있다. (MBC America 2편, KBS America 2편, SBS International 5편, 비키 15편,드라마피버 4편)
한국 영화는 DMR(Digital Media Rights) 산하의 아시안크러쉬(Asiancrudh)11)를거쳐 제공하고 있다. 또한, 한국 애니메이션으로는 ‘뽀롱뽀롱 뽀로로’와 ‘꼬마버스 타요’ 가 서비스되고 있다.
2016년 기준으로 훌루는 1천200만 명의 구독자를 확보하고 있다. 지난 2008년 서비스 시작일부터 7억 시간 이상의 콘텐츠를 스트림해 왔다.
광고 기반의 기본 서비스는 USD 7.99 달러이며, 광고 없는 서비스는 USD11.99 달러이다. 쇼타임의 프로그램들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USD 8.99 달러의 애드온 서비스를 추가해야 한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Amazon Prime Video)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는 자사의 서비스를 통해 쇼타임(Showtime)과 스타즈(Starz)를 구독할 수 있는 스트리밍 파트너스 프로그램(Streaming Partners
Program)을 시작한다.12)
아마존 프라임 회원이 아니더라도 드라마피버인스턴트(DramaFeverInstant)를 추가구독(USD 3.99 달러/월)하면 드라마피버가 제공하는 한류 영상 콘텐츠를 아마존프라임 비디오 내에서 시청할 수 있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는 자사가 직접 제작 배급하는 첫 한국 드라마인 ‘아이돌마스터.KR(Idolm@ster.kr)’을 제작 중이며, 2017년 한국과 미국 동시 방영을준비 중이다.13)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는 “응답하라 1997”, “케이팝 스타 시즌5”들을 비롯한 6여 편의 드라마 및 방송 콘텐츠와 4편의 애니메이션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 영화도 200여 편에 달하며, ‘엽기적인 그녀(2001)’, ‘바람의 파이터(2004)’, ‘미녀는 괴로워(2006)’, ‘여행자(2009)’, ‘화이 : 괴물을 삼킨 아이(2013)’등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아마존 프라임 구독자들은 TV 콘텐츠와 영화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무료로 시청할 수 있다. 일반 회원들은 TV 콘텐츠의 경우 각 회당 USD 0.99 - 3.99
달러에 구매할 수 있으며, 영화의 경우 편당 USD 1.99 - 9.99 달러에 대여및 구매가 가능하다.
-----------------------------------------------------------------------------------------------------
6) Netflix (2016). Q2 16 Letter to Shareholders. CA: Netflix
7) Yu, R. (2013, March). American audiences: I want my international TV. USA Today.Retrieved from
http://www.usatoday.com/story/money/business/2013/03/21/international-tv-shows/1972949/
8) AP (2016, June). Netflix plans Asian original movies, series. CBS News. Retrieved from
http://www.cbsnews.com/news/netflix-plans-asian-original-movies-series/
9) Hwang S. Y. (2014, December). Korean broadcasters pull content from YouTube.Cnet. Retrieved from
https://www.cnet.com/news/korean-broadcasters-pulling-youtube-content-for-domestic-users/
10) www.hulu.com
11) 현재 광고 기반의 영화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베타서비스임 http://www.asiancrush.com/
12) Stelter, B. (2015, December). Amazon Prime will now stream Showtime and Starz.CNN. Retrieved from
http://money.cnn.com/2015/12/08/media/amazon-prime-streaming-part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