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메뉴
검색버튼

정치사회

'혈전 논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재개... 30세 미만 제외

조성복 기자

기사입력 : 2021-04-11 16:51

공유하기

닫기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트위터

텍스트 크기 조정

닫기

이미 AZ백신 접종한 30세 미만 13만5000명
AZ백신 1차 접종후 '희귀 혈전증' 없으면 같은 백신으로 2차 접종 마쳐야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중앙방역대책본부장) [사진제공=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중앙방역대책본부장)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조성복 기자] 접종 후 혈전 생성 논란이 일었던 아스트라제네카(AZ)사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오는 12일부터 재개된다.

다만 유럽의약품청(EMA)과 의약품건강관리제품규제청(MHRA) 등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30세 미만 젊은 연령층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대상에서 제외됐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이하 추진단)은 11일 정례 브리핑에서 "2분기 접종 계획에 따라 12일부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재개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 8일부터 접종이 연기·보류됐던 특수학교 종사자와 유치원·초중고교 보건교사, 감염 취약시설 종사자, 60세 미만 등에 대한 접종이 다시 시작된다.

추진단은 전문가 자문회의와 예방접종전문위원회 논의를 거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 보고된 특이한 혈전 사례를 중점적으로 논의했으며, 백신 접종의 이득과 위험을 분석해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

예방접종전문위는 "코로나19 위험이 지속되고 있는 국내 상황에서는 백신 접종을 차질 없이 진행하는 것이 사망자 수와 유행 규모를 줄이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판단했다.

예방접종전문위는 영국 등에서 문제가 된 혈전 증상인 '뇌정맥동혈전증'(Cerebral venous sinus thrombosis·CVST), '내장정맥혈전증'(Splanchnic vein thrombosis) 등의 사례가 국내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국내에서는 지금까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 혈전 증상이 3건 보고됐다. 이 가운데 2건은 백신 접종과의 인과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나머지 1건은 인과성이 인정됐으나, 혈소판 감소 증상이 없어 EMA의 부작용 사례 정의에는 맞지 않았다.

예방접종전문위는 "유럽에서 보고되고 있는 혈전 사례의 대부분은 낮은 혈소판 수치와 일부 출혈을 동반하는 매우 드문 특이 혈전증으로, 국내에서 보고된 사례는 EMA 사례 정의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다만 예방접종전문위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의 연령별 이득과 위험 분석 결과에 따라 위험 대비 이득이 높지 않다고 평가된 30세 미만에 대해서는 접종을 권고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30세 미만의 경우 백신 접종으로 유발될 수 있는 희귀 혈전증으로 인한 위험에 비해 접종으로 인한 이득이 크지 않은 점을 고려한 것이다. 앞서 영국 역시 30세 미만에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아닌 다른 접종을 권고했다.

정부는 권고를 받아들여 2분기 접종 일정을 재개하되 30세 미만은 접종 대상에서 제외했다.

정은경 추진단장은 "2분기 접종 대상자 가운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는 사람은 65~74세 어르신이 494만명, 65세 미만이 238만명 정도"라며 "30세 미만은 약 64만명 정도로, (65세 미만 접종 대상자 가운데) 27%가 제외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30세 미만 연령층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아닌 다른 백신을 접종하게 될 전망이다. 백신 종류와 시기 등은 향후 백신 수급 및 도입 상황에 따라 결정될 예정이다.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 1차 접종을 완료한 사람 중 희귀 혈전증 관련 부작용이 없는 경우 연령과 관계없이 2차 접종을 받을 수 있도록 예정대로 추진할 방침이다.

정 단장은 희귀 혈전증이 발생한 1차 접종자에게 다른 종류의 백신을 교차 접종할 수 있냐는 물음에 "위원회와 전문가 검토 의견은 1차 접종으로 희귀 혈전증이 발생한 경우 2차 접종은 권고하지 않는다는 것"이라며 "교차 접종에 대해서는 아직 근거가 있지 않기 때문에 권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됐다"고 답했다.

이에 따라 30세 미만이라고 하더라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차 접종 후 희귀 혈전증이 없었다면 2차 접종도 동일한 백신을 맞아야 한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차 접종자 약 91만명 가운데 30세 미만은 약 13만5000명이다.

정 단장은 "정부는 의료계, 전문가와 협력해 이상반응 발생 시 신속하게 치료하고, 이상반응 감시·조사·심의를 신속하게 진행하면서 관련 내용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대처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주요뉴스
경제
산업
IPO·주요공시·증권리포트
더파워LIVE
정치사회
문화
글로벌대학